[오픈포럼] 4. 조직미학과 예술기반경영 현황 및 전망 – KAIST 장대철 교수

예술기반경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장대철 교수의 강연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예술의 역할 및 의미

예술은 보편성, 특수성과 함께 환상적 또는 마법과 같은 놀라움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문화는 의사소통 프로토콜(Communication Protocol)이고, 예술은 문화의 일종입니다. 예술에 있어서 Exploitation(지역적 최적화는 기존의 사회 가치를 계승 및 강화하여 협동을 촉진시키고자 하는 것, exploration은 탐험)은 새로운 가치를 표현하여 기존 패러다임(가치 체계)에 도전하는 것입니다.

 

■ 예술과 경영

예술은 보편성과 특수성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서 창의성을 발현하여 감동을 주는 것입니다. 경영은 예술입니다. 경영과 예술의 관계 변화(Lois Bartelme, 2005)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전통적인 예술과 경영의 관계: 사회적 투자 혹은 환원

2) 오늘날 예술과 경영의 관계: 예술적 지식과 감각을 경영문제를 해결하는데 이용

3) 향후 예술과 경영의 관계: 예술과 경영이 통합적 관계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음

 

■ 예술기반 경영

기존의 예술기반경영은 주로 마케팅 목적으로 이용되었고, 간접적인 활동이 주를 이루어 왔습니다. 최근 10년간은 예술과정, 예술조직, 예술작품 등 예술을 통해 직접 배우고, 느끼고, 표현하는 직접적인 활동이 증가하여 왔고, 적용되는 분야도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1990년대 IT 기술 혁명은 예술기반 경영이 조직관리의 차원에서 직접적으로 이용되도록 하는 기폭제 역할을 하였습니다.

 

■ 예술기반경영 현황

1) 경영대학원의 교육과정에 도입

2) 예술기반 경영 지원단체 및 컨설팅 프로그램

3) 연구 네트워크(Research Network)

4) 컨퍼런스(Conference) 개최

5) 경영에서 예술의 활용에 대한 연구 프로젝트

 

■ 예술기반경영: 기존 문헌 연구

1) Steven S. Taylor and Hans Hansen(2005)

2) Steven S. Taylor (2009)

3) Arts & Business in UK(2009)

4) 전수환, 한아린(2011)

 

■ 예술기반 경영: 이론

– Framework: A-BC-P Framework

– 분류기준: 예술기반경영의 활동(Activities)을 예술의 장르, 경영의 기능에 따라 구분하고 다시 예술의 활용수준과 예술의 작품수준, 조직구성원의 참여수준에 따라 구분

 

■ 예술기반경영: 적용 사례

1) 연극을 이용한 리더십개발과 협력증진

2) 연극을 통해 기업의 비전 및 행동규범 공유

3) 조형물을 이용하여 공동의 목표수립

4) 시인을 고용하여 창의력을 자극함

5) 밴드경험을 살린 경영관리 지표개발

6) 브랜드 가치를 나타내는 음악창작

7) 협연을 통한 유대감 강화

 

■ 전망과 과제

1) 예술기반경영은 급변하는 환경 변화에 창조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법이며, 따라서 예술기반경영은 미래에 기업의 경쟁우위를 결정하는 핵심역량이 될 것임

2) 예술기반경영의 활동(Activities)와 효과(Benefit)간의 관계를 정교하게 측정해야 함

3) 예술기반경영의 적용을 위해서는 기업의 제약조건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