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습목표
– 도시와 창조경영의 연결점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한다.
– 도시에 필요한 창조경영 창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도시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한다.
2. 학습성과
창조적 도시와 창조적인 사람들에 대한 개념, 사례들을 이해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창조경영에 대한 정의를 내릴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본다.
3. 주요 학습 내용
도입
보조자료
1) 출석 확인
2) 지난 시간의 간략한 리뷰 및 질의 응답 시간
3) 팀 발표 준비 사항 확인
전개
보조자료
1) 도시 & 창조경영
2) 발표 학생들의 사례 선정 이유에 대해서 충분히 설명하도록 유도한다.
3) 도시의 정의부터 시작하여 아래와 같은 개념을 이해하도록 유도한다.
□ 공간 space vs. 장소 place
공간의 구분, 장소의 복원
□ 주택 fortress-house vs. 게토 ghetto
□ 완성된 도시 vs. 몰락한 도시 vs. 창조된 도시 vs. 창조를 가능하게 하는 도시
4) 라스베이거스의 사례를 소개한다.
공간의 생산(by Henri Lefebvre)
EBS 다큐프라임.서울은 사랑할 것이 많다
KBS 스페셜.20110717.도시를 브랜드하라 – I ♡ NY 이야기
종결
1) 요약 및 향후 진행 공고
– 어떤 이들이 창조적인 이들인가?
– 그런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곳은 어디인가?
– 당신이 살고 싶은 곳은 어디인가?
– 당신이 사는 곳이 창조성을 높이는가?
– 다음차시 발표팀 확인
2) 질의응답
4. 교육보조자료 및 참고 문헌
– 공간의 생산, 앙리 르페브르, 에코리브르, 2011
– EBS 다큐프라임, 20080618, <서울은 사랑할 것이 많다>
– KBS 스페셜, 20110717, <도시를 브랜드하라 – I ♡ NY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