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차] 오리엔테이션 & 기업창의학습 지원사업 소개

1. 학습목표

수업의 목표와 주요내용, 진행일정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더불어 <기업창의학습 지원사업>의 연계 교과로서 진행되는 수업으로서 사업의 취지와 배경에 대해 이해하고 공감하며, 동기부여 과정을 통해 학생 스스로 학습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2. 학습성과 : 학습자는 다음과 같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

① <기업과 문화예술> 수업의 취지와 주요 내용, 향후 진행을 숙지한다.

② 문화예술의 가치를 기업에 접목시키는 창의학습모델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공감한 가운데 <기업창의학습 지원사업>의 배경과 취지, 의의를 이해한다.

③ 학습자 개개인의 관심사와 각 활동 영역을 바탕으로 자발적으로 학습 및 시범 사업의 방향을 설계할 수 있다.

 

3. 주요 학습 내용

도입

보조자료

1) 주의집중 및 동기부여

– 매일경제 [커버스토리] (2011.12.26)
선진국의 예술경영 성공사례, 사내 갤러리/동호회 지원…국내기업은 이벤트 뿐, 사내 예수교육 고갈되지 않는 창의성의 원천

2) 금일 수업 진행 개요 안내

기사 게재 웹페이지

전개

보조자료

1) <기업과 문화예술> 수업에 대한 이해

○ 수업목표 및 진행방식

– 문화예술의 가치를 기업에 접목시키는 창의학습모델 개발을 통해 기업을 위한 핵심 역량 개발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창출, 보급, 확산하고자 하는 기업창의학습 지원사업의 연계 수업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 중 학생들이 직접 다양한 기업들을 방문하여 예술과 기업의 새로운 관계에 대하여 토론을 나누고 이를 통해 학생 스스로 방향을 설계하도록 유도함

– 설계를 토대로 실제 기업에 방문하여 CEO와 실무자들로부터 기업에서 문화예술을 활용하는 다양한 방안과 그 까닭, 효용 등에 대해 논의하고 정리하며, 방문 기업을 포함한 관심 기업을 선정하여 해당 기업에 문화예술 활용 방안을 제안

– 채택된 제안은 시범사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그 실효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고 피드백과 재논의의 과정을 거쳐, 기업과 문화예술계가 양자에게 실익이 되는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을 통한 기업창의학습 모델로서 도출하고자 함(2011년)

○ 수업개요

– 수업기간: 2010/2011년 가을학기(9월~12월), 16주차

– 수업대상: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경영과 전문사 과정생

○ 세부 수업 일정 안내

1주차: 수업 오리엔테이션, 기업창의학습 지원사업 소개

2주차: 문화예술과 기업의 관계 – 기존 연구의 탐색

3주차: 기업 창의학습 지원사업 실행 사례 1 – 교육프로그램

4주차: 기업 창의학습 지원사업 실행 사례 2 – 문화예술동호회

5주차: 기업 창의학습 지원사업 실행 사례 2 – 문화공간조성

6주차: 기업 창의학습 지원사업 실행 사례 2 – 조직문화

2) 2011 <문화예술을 통한 기업창의학습 지원사업(ARCOM)>에 대한 이해

○ 사업의 배경 및 목적

– 기업과 문화예술은 과거 개별적 관계에서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는 직접적인 예술가(단체) 지원의 형태로, 홍보와 마케팅 수단으로, 근래에는 기업이 예술적 지식과 감각을 경영문제 해결에 활용하는 등 통합적인 관계로 발전하고 있음. 이미 픽사를 비롯한 선진기업과 미국, 영국 등 선진국은 기업과 예술 간 파트너쉽을 구체화하여 그 성과를 얻고 있음

– 가치가 주도하는 ‘마켓 3.0′(필립 코틀러)에서는 조직 내부의 창조적인 에너지원을 분출시켜 혁신적인 상품과 서비스를 창조하는 가치사슬의 구축이 촉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창조성의 원천인 문화예술을 기업 활동에 접목, 결합하려는 관련 연구와 실행이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

– 기업창의학습 지원사업은 국내에서 문화예술의 가치를 기업에 접목시키는 창의학습모델 개발을 통해 기업을 위한 핵심역량개발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창출, 보급, 확산시키데에 목적을 둔 선구적 사업으로서 우리나라 기업 실정에 적합하고 진일보한 문화예술을 통한 창의학습모델을 개발하여 정책-기업-문화예술간 지속 가능한 선순환적 관계망을 만들고자 함

○ 사업기간: 2011년 7월~2012년 3월

○ 사업내용

– 우리나라 기업 실정에 적합한 예술을 통한 기업창의학습모델 개발을 위해 전문 코디네이터의 촉진 역할에 의한 기업과 예술가(단체) 간의 매칭 시범사업 운영

․ 예술을 통한 창의학습모델개발(기획/운영/평가체계 수립)

․ 창의학습모델개발을 위한 시범프로젝트 운영(8개)

: Art for Nursing(서울대학병원), 프리젠테이션시어터(인컴브로더), KOGAS 글로벌 노마드(한국가스공사-메타기획컨설팅), 창의소통사관학교(소셜아트컴퍼니-기아차), 중소기업 문화경영고도화(에이스힌지텍, 새싹), 춤추는 요리사(서울밀레니엄힐튼), Art@KOG(KOG), Art Forum N(넥슨 코리아)

– 시범사업의 성과의 지식자산화 과정을 동시에 수행하여 사업의 성과들을 효과적으로 확산

․ 워크숍 및 지식커뮤니티(CoP) 운영(1/2차 워크숍, 실행/연구/교과과정 개발 CoP)

․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한예종/국민대/경희사이버대 공동개발)

․ 웹진 및 소셜미디어 운영(www.arcom.kr/트위터/페이스북)

․ 국제포럼 운영(오픈포럼)

․ 성과 사례 공유(연구보고서, 사례집 발간)

– 기업창의학습모델 개발을 위한 시범사업들과 지식자산화 과정을 기획/운영/평가하기 위한 기업창의학습 지원사업팀 운영

○ 기대효과 및 성과

– 정책영역: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이 공공영역을 넘어 민간영역(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 기업영역: 국내 실정에 맞는 문화예술을 통한 기업조직의 핵심역량 개발 방안 마련하며,

– 문화예술영역: 문화예술의 사회적 영향력 확대를 통한 예술가(단체) 역량 강화 및 자생력 확보, 지원의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 문화예술경영영역: 문화예술경영 연구성과 축적 및 관련 교과과정을 개발하고 확산하는 지식공유네트워크 형성으로 기업과 문화예술 간 상생의 파트너쉽 구축에 이론적 토대와 지속적인 연구개발 성과를 제공함

○ 사업 모델 개발 및 추진방향: 문화예술을 통한 기업창의학습모델

– 기업 내 문화예술 활용방식(창조경영)을 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내부마케팅 활동으로서 문화예술 활용방식을 직접/간접 방식으로 나누고 내부 마케팅의 대상을 개인(조직원)과 조직 차원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4가지 유형을 도출하였음

① 교육 프로그램형: 조직원을 대상으로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배울 수 있는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제공

② 문화예술동호회형: 조직원의 자발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문화예술 동호회 활동을 지원

③ 문화공간형: 조직 전체에 기존 업무 공간에 공연장이나 갤러리. 스튜디오 등 문화예술적 공간 요소를 적용하여 설계한 문화적 공간을 제공

④ 조직문화형: 조직운영방식(커뮤니케이션, 조직문화, 조직구조)에서 보다 직접적으로 문화예술적 방식과 철학을 적용하여 기업 혁신을 추구

– 본 사업은 기업 내 문화예술 활용에 대한 연구와 실행의 이니셔티브로서 문화예술 활용의 어느 한 유형에 국한하지 않고 통합적인 접근을 택함

– 각 영역을 아울러 기업의 창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조직문화와 문화공간에 대한 연구(방향 1: ③문화공간형과 ④조직문화형의 통합)와 조직 내 창의적 인적 자원의 개발 차원에서 개인(조직원)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동호회 활동(방향 2: ①교육 프로그램형, ②문화예술동호회형의 통합)의 기획 및 실행, 창의적 환경과 창의적 인력이 통합된 기업 전략 하에 개발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으로서의 예술문화 기반 업무프로세스(경영미학)의 정립과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방향 3: ①②③④ 전 유형 및 방향 1/2의 통합)로 통합적 사업 추진 방향을 설정함

아르꼼 웹진/사이버 교육과정 개발 동영상 컨텐츠

종결

1) 요약 및 향후 진행 공고

– <기업과 문화예술>은 <기업창의학습 지원사업> 추진방향 2의 개인(조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동호회 활동의 기획 및 실행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며, 과정 중 관련 분야 전문가에 의해 수행되는 방향 1, 3의 창의적 환경 조성 지원과 예술문화 업무 프로세스 적용 연구 결과 또한 공유함

– 참여 학생은 기업과 예술가(단체) 간의 매칭 시범사업을 추진을 위한 전문 코디네이터로서 다양한 사전 조사 및 실제 기업 방문 인터뷰를 통해 스스로 문화예술 활용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하는 심의 회의와 대상 기업의 의견 수렴 과정을 통해 채택된 안은 시범 사업으로 추진됨

– 실행을 통해 얻은 성과와 제기된 문제점 분석과 이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기업창의학습 지원사업 지식자산화 과정을 통해 공유되고 확산될 것이며, 검증 및 수정 보완하여 향후 기업창의학습 모델로 자리잡을 것임

– 3주차 수업까지 각자 관심있는 분야와 해당 기업을 선정하여 기업 내 문화예술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기획안을 제출하기 바람

2) 질의응답

 

3. 교육보조자료

– 2011 문화예술을 통한 기업창의학습 지원사업 사이버 교육과정 개발 동영상 컨텐츠 (경희사이버대학교)

 

4. 참고문헌

– 이진아, 예술과 기업의 관계에 대하여, 계간 낭만음악 제14권(통권56호) 2002년 가을호, 2002

– 박광량, 심미성과 경제성: 예술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한국문화경제학회 「문화경제연구」 제5권 제1호, 2002

– 전수환/한아린, 문화예술을 통한 창조경영, 창조경영연구 제4권 1호 (2011년 2월) pp.145-169, 2011

– 전수환 외 7인, 「07_08 문화예술교육 박람회」기업환경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

– 전수환 외 11인, 문화예술교육 메세나 세미나 – 왜 기업이 학교와 예술교육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8

–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학협력단, 문화예술을 통한 기업창의학습과 사회공헌 워크숍, 문화체육관광부,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