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습목표
현대 사회에서 문화예술과 기업의 관계와 그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문화예술이 기업에 미치는 효용성과 반대 급부에 대해서 이해하며, 문화예술과 기업의 파트너쉽의 선구적 실천으로서 기업환경 내에서 문화예술교육 실행 사례들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 스스로 문화예술과 기업의 발전적 파트너쉽의 상(像)을 그리고, 기업창의학습 프로그램 설계의 방향을 설정하며, 구체적인 설계에 있어 고려할 점들을 입체적으로 사고할 수 있다.
2. 학습성과
① 문화예술과 기업의 관계에 대한 인식의 변천과 그 맥락을 이해한다.
② 현대사회에서 문화예술과 기업 간 파트너쉽이 어떻게 등장하였고, 왜 요구되는 지 설명할 수 있다.
③ 문화예술과 기업 간 파트너쉽의 선구적 실행 사례로 문화예술교육이 지니는 함의를 고찰하고, 기업 내부고객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활동과 사회공헌활동으로서 기업의 외부고객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활동의 두 방향을 이해한다.
④ 문화예술과 기업의 지속가능한 관계 모색을 위한 미래적 전략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3. 주요 학습 내용
도입
보조자료
1) 지난 수업 내용 요약 정리
2) 금일 수업 진행 개요 안내
○ 2000년대 이후 국내 문화예술과 기업의 관계에 대한 연구 흐름을 살펴보고 토의함
① Phase 1: 문화예술과 기업의 관계에 대한 개념 정립과 확장(2002)
– 예술과 기업의 관계에 대하여(이진아)
– 심미성과 경제성: 예술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박광량)
② Phase 2: 문화예술과 기업의 파트너쉽의 발전적 모델로서 기업 관련 문화예술교육 실행사례(2007~8)
– 기업환경에서의 문화예술교육(전수환 외)
– 문화예술교육 메세나: 왜 기업이 학교와 예술교육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전수환 외)
③ Phase 3: 창조경영의 본격적인 대두와 경영미학의 등장(2010)
– 문화예술을 통한 창조경영(전수환/한아린)
전개
보조자료
1) Phase 1: 문화예술과 기업의 관계에 대한 개념 정립과 확장
○ 예술과 기업의 관계에 대하여(이진아)
– ‘용어’로 살펴보는 기업과 문화예술의 관계
용어
유래 및 개념
필랜스로피(philanthropy)
인도주의적 목적을 위해 자금을 나눠주는 기관
패트로니지(patronage)
로마어 파테르(pater-아버지)에서 유래. 보호자, 옹호자. 특별히 미술에 적용되며 패트론은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예술가의 후원자를 지칭
스폰서쉽(sponsorship)
채무를 변상하는 책임을 진 사람. 기업명, 상품 또는 서비스를 선전할 목적으로 기업이 지불하는 금전(또는 서비스 서비스)의 제공
파트너쉽(partnership)
소유물이나 어떤 일의 즐거움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것 또는 공동이익을 위해 합작회사를 운영하는 공동사장들 간의 관계
후원
필랜스로피, 패트로니지, 메세나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며 박애정신과 입각하여 반대급부에 대한 기대 없이 금전이나 현물을 제공하는 기부 행위
용어
유래 및 개념
협찬
스폰서쉽, 파트너쉽과 유사. 기업의 이미지 증진이나 광고 등 보다 확실한 효과를 기대하고 금전이나 현물을 제공하는 행위
메세나
(mécénat)
고대 로마제국에서 예술가들을 지원한 로마 예술부흥 공헌 대신 마에케나스(Gaius Maecenas, BC 67-AD 8)에서 유래. 예술, 문화, 과학에 두터운 보호와 원조. 문화예술 후원을 통해 회사 이미지를 높이기 위한 기업활동을 의미’한국기업메세나협의회'(1994년)는 “메세나가 외국어로서 생소하기는 하지만, 기존에 사용되던 후원이라는 용어가 기업의 일방적인 지원이라는 뉘앙스를 갖고 있기 때문에 기업과 문화예술이 서로 동등한 입장에서 보완적으로 협력한다는 의미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라고 언급
⇒ 예술과 기업의 관계를 설명하는 관점, 기관, 활동, 주체, 기업이 얻는 반대 급부에 따라 용어 간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음. 그러나 다양한 개념의 등장 및 변용, 확대는 문화예술과 기업의 입장과 위치가 평등해져가고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의 이행을 반영함
– 국가별 ‘유형별’로 살펴보는 기업과 문화예술의 관계
: 20세기 말부터 기업과 문화예술 관련 연구와 정책 수립, 민간의 참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미국과 영국, 일본에서의 사례에서 공통점을 도출하여 문화예술과 기업의 파트너쉽을 다음과 같이 유형화할 수 있음
① 사회관계 모형(Social Relations Model)
: 기업에 있어 사회관계는 기본적으로 기업과 사회간의 상호작용 활동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기업은 가치추구를 위해 좋은 사회관계를 이루고자 함. 이러한 동기로 기업 자본 출자자(stockholder)에 의해 후원 행위가 이루어지며 예술 자체는 혜택만 받음. 즉, 기업이 문화예술로부터 얻는 실질적 반대급부는 없다고 보고, 사회 공헌 및 나아가 기업시민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함.
“공간을 위한 예술, 예술을 위한 공간” 프린스 조지 메트로 센터
미국 매릴랜드의 프린스 조지 메트로 센터(Prince George’s Metro Center)는 부동산 기업으로 1999년 프린스 조지 예술위원회 사이에 이루어진 파트너쉽을 통해 예술관계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받고 예술위원회에 31에이커의 공간과 인큐베이팅 공간으로 6,000피트의 인큐베이팅 공간을 무상으로 제공함. 그 결과 지역사회에서 공중의 평판이 향상되었으며, 기업 예술연대의 성공적 모델로서 기업/교육/문화조직의 협력에 기폭제 역할을 하게 됨.
②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모형(Marketing Communication Model)
: 기업의 제품 홍보, 기업 광고에 예술을 활용하는 모형으로 예술이 지닌 신뢰와 미적 가치를 기업의 가치 추구에 이용하고자 함. 예술은 핵심역량이 아닌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제품의 판매촉진 이외에 대외섭외력과 인지도 향상, 이미지 고양에 영향을 미침.
“문화예술을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 라 페를라 미국
이탈리아 계열의 여성의류 제조업체 라 페를라 미국(La Perla USA)은 목표시장인 미국내 중산층 이상의 중년 여성을 목표시장으로 설정하고 이에 도달하기 위해 영화와 무용을 지원하여 미국 내에서 35%의 매출 신장과 더불어 브랜드 인지도를 높임. 실례로 1999년 링컨 센터에서 있었던 뉴욕 필름 페스티벌에서 이탈리아 영화감독 피에뜨로 제르미(Pietro Germi)의 작품을 지원하였으며, 무용가 빌 티 존스(Bill T.Jones)의 아키 제인 댄스 컴퍼니 세계 순회 공연에 필요한 무용 의상 제작을 지원하였음.
③ 문화산업 모형(Cultural Industries Model)
: 기업 이윤추구의 핵심역량이 예술과 예술에서 파생된 문화상품일 때에 적용되는 모형임. 거래의 객체인 재화와 용역이 문화상품인 경우. 예술과 문화상품 유통을 위한 기반시설의 운영으로 이윤이 창출되는 경우도 해당. 단, 지나친 상업주의로 인하여 예술의 저급화와 가치 왜곡이 이루어질 수 있음
“예술을 근간으로 자본과 결합” 월트 디즈니
광고 삽화가 월트 디즈니는 미키 마우스 캐릭터를 바탕으로 만화, 게임, 비디오, DVD 사업을 하는 월트 디즈니 월드와 놀이 동산인 디즈니 랜드에 이르기까지 사업을 확장. 2002년 포춘지 선정 미국 내 75위 기업이자 연예 오락 산업 내 2위 기업의 거대 회사로 성장. 문화산업의 근간이 예술이며, 예술이 자본과 결합하는 관계에서 사업의 새로운 형태를 구성한 문화산업 모형의 전형.
④ 미래가치 모형(Future Value Model)
: 예술과 기업의 파트너쉽도 사회의 가치 변화에 반응한다는 관점을 가지고 기업을 인류의 문화와 문명을 창조하는 도구로 봄. 월톤이 제시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모형 중 마지막 단계인 예술모형에 해당하며, 기업은 더 이상 이윤 추구를 최종 목적으로 삼지 않고, 인류의 문화와 문명의 창조를 추구함으로 조직 내부의 암묵적 가치에 예술을 도입하는 등 자발적으로 예술과의 파트너 쉽을 원함
<월톤(C.Walton)의 사회책임모형>
모형분류
주요 내용
엄격모형
기업의 이윤추구 개념을 강조. 주주의 이익극대화를 기업의 사회책임 최우선으로 파악
가계모형
종업원에 대한 책임을 강조. 기업내부 수준에서 사회 책임이 대외적으로 표출되기 시작하는 단계
판매자모형
소비자에 대한 책임을 강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대외적으로 표출되기 시작하는 단계
투자모형
사회책임을 기업의 장기적 존속과 이익을 위한 투자로 파악. 기부행위에 초점을 둠
시민모형
민주주의의 정치체제에 기반으로서 기업을 인식. 기업의 장기적 이익과 직결되지는 않음
예술모형
물질적 가치를 넘어선 문화적 가치의 구현에 기업의 책임을 강조. 기업을 고도의 문화와 문명 창조를 위한 봉사자로 인식
“예술과 기술의 공존” – 제록스 페어 프로그램
2002년 1월 제록스(Xerox)사에서 파트너쉽의 관계를 지닌 자회사로 독립한 파크 연구소(Palo Alto Research Center)는 과거 제록스의 부속 연구소로 있던 시기에 페어프로그램(PAIR : PARC Artists in Residence Program. 1993~1999)을 실시. 이는 예술가 상주 프로그램으로 예술이 지닌 창의성에 큰 가치를 두어 예술의 고유 형태와 본질을 왜곡하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 예술과 기술 중 어느 하나를 종속적인 관계로 보지 않고 동등한 관계로 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나, 진행이 중단되어 유지 존속을 위해서 필요한 돌파구의 필요성(반대급부와 가치의 전환)을 시사함
– 기업과 문화예술의 관계에 대한 ‘대안적 시선’: 기업이 문화예술로부터 얻는 반대급부를 기업의 경쟁우위 분석을 통해 도출함
・기업과 문화예술의 파트너쉽이란 어디서부터 시작되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됨. 즉, 기업과 예술의 관계가 파트너쉽이라고 한다면, 자본에 대한 책임을 어디까지 물을 수 있느냐는 문제로, 현재의 논의에서는 예술과 기업의 관계가 주는 반대 급부가 기업의 본원적 활동의 일부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진정한 파트너쉽을 이룩하기 어려움. 이에 대한 대안적 시선으로 예술과 기업의 관계에서 얻는 반대급부를 기업 경영에서의 전략을 보는 관점에서 기업의 경쟁우위에 대한 분석으로 도출함
경쟁우위(Competitive Advantage)
전략경영의 대표적 연구자이자 경쟁우위의 개념을 제안한 마이클 포터(Michael E. Porter)는 기업의 여러 활동을 결합하여 독특하고 가치있는 지위를 창출해내는 것인 전략에 대해 경쟁우위를 성취하기 위한 외부기회와 위협 그리고 내부 강점과 약점들에 대한 대응으로 설명함. 그리고 경쟁우위의 원천을 추출할 수 있는 모델인 가치 사슬(Value Chain)을 제안하여 기업의 가치활동을 본원적 활동과 지원활동으로 나누고 경쟁 우위를 성립하는 요소를 추출하고자 함
・미국 BCA의 아트@워크 프로그램의 사례에서 경쟁우위 추출을 위한 지원활동의 네 가지 측면 즉, “하부구조, 인적자원관리, 기술개발, 획득”을 도출함. 1998년부터 추진된 이 프로그램은 예술을 회사의 작업 공간으로 끌어들여 예술 행사에 직원이 직접적으로 참여하도록 함
① 하부구조: 의사소통(organizational communication)의 증진
기업에서의 의사소통은 공식적 의사소통과 비공식적 의사소통으로 나누어지는데, 전자는 경영자와 종업원들간 혹은 수직적 관계를 갖는 부서 구성 원들 간에 직무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해주기 위해 이루어지며, 후자는 수평적 의사소통으로 동료들이나 부서들 간 업무의 중복이나 불필요한 갈등을 줄이고 서로 협조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공유할 때 이루어짐. 기업과 예술과의 파트너쉽은 특히, 조직원간의 비공식 의사소통 증진에 기여하여 조직 내 성과에 있어 업무능률 향상이라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② 인적자원관리: 창의적 인력 확보와 개발 인력에 대한 계획
질적 인력공급예측의 측면에서 교육정도나 직무처리능력, 육체적 능력, 사회적 능력 등이 검토되는데, 특히 인지적 능력 중 창의력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 실제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예술이 개개인의 창의성(creativity)과 경영자의 혁신성(innovation)을 확인하고 개발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언급함. 개인의 창의적 행위는 조직으로 하여금 급변하는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하며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지니기 위한 필수 요건이 됨. 조직원이 창조적으로 일할 때, 새롭고 유용한 제품의 개발과 아이디어, 절차 등이 제안될 수 있음
③ 기술개발: 외부환경에 맞추어 내부능력을 활용하는 바람직하고 경제적인 전략에의 접근
예술과의 파트너쉽은 기술, 경제, 문화, 인구통계, 정부를 포함한 거시환경, 산업구조, 경쟁기업, 고객 등의 분석에 의해 이루어지는 외부 환경을 감지하여 전략을 결정하는데 효과적임. 특히 이해관계자와의 관계를 개선하는 데에 효과적인데, 파트너쉽을 통해 지역사회에서 공중의 인지도를 높이고, 신기술과 지식개발을 인도하며 타 산업으로 사업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함. 실제 아트앳워크 프로그램 참여자들도 예술이 지역 주민과의 이해 증진에 영향을 미치며 외부의 반응을 기업이 인지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는 사실을 확인함
④ 획득: 문화기반시설의 보유
문화기반시설은 지역사회, 사회전반을 포함하여 그 회사의 직원의 문화향유 욕구를 충족시켜 애사심을 높이고 기업 경쟁력의 기반이 될 수 있음
– 시사점 및 향후 문화예술과 기업 간 발전적 파트너쉽을 위한 제언
・문화예술과 기업의 관계는 점차 양자 실리 추구의 관계로 이향하고 있음. 포터의 가치사슬을 기반으로 한 반대급부의 분석은 파트너쉽이 기업경쟁력의 기초를 이루어 기업의 핵심역량이 될 수 있다는 전반적 패러다임의 변환을 가져오며, 이는 파트너쉽에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발할 수 있는 타당한 근거가 됨
・문화예술이 기업의 경쟁우위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파악할만한 양적인 측정 방법 및 기업의 원천적 경쟁우위 확보에 있어 도움이 될만한 모델의 발굴이 촉구됨
・기업의 의식 및 가치관의 전환, 정부의 정책 입안과 같은 제도적 장치의 마련, 예술은 본연의 활동으로서 다양한 전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는 등의 파트너쉽 각 구성원 각고의 노력이 필요함
○ 심미성과 경제성: 예술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박광량)
– 연구 주요 내용
・예술에서의 심미성 원리와 경제성 원리가 상호 모순 관계에 있지 않음을 보이기 위해 제반 예술/문화적 현상들을 경제원리를 활용하여 분석
・예술과 경제는 상호 촉진적 관계에 있으며, 예술 또한 여타의 산업과 마찬가지로 경제원리를 활용할 때(자유시장원리를 따를 때) 생산과 소비, 질적/ 양적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음
– 20세기 후반부터 등장한 예술경제학 및 관련 연구의 영역을 문화예술과 경제/경영 간 방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해볼 수 있음
① 문화/예술 경제학
・문화나 예술을 대상으로 하여 경제학의 방법론적 관점에서 분석함
・예술경제학은 유한한 예술관련 재화의 효율적 배분의 관점에서 예술관련 행위나 제도, 정책적 문제들을 분석하고, 예술품의 생산과 소비, 예술행위와 예술품의 가격, 예술품 시장이나 예술산업 정부의 예술시장에 대한 개입을 다루는 경제학의 한 분과. 문화경제학은 예술을 포함하는 더 큰 집합개념으 로서의 문화 관련 현상들에 대해 경제학적으로 분석함
・공연예술이 겪는 시장 실패 요인을 분석하면서 공적 지원의 당위성을 제기한 경제학자 보몰(Baumol)과 보웬(Bowen)의 ‘공연예술: 경제적 딜레마 (Performing Arts: The Economic Dilemma, 1966)’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이론적/경험적 연구가 시작
② 문화/예술 경영학
・문화 및 예술을 대상으로 분석하거나 이를 전략적 자원으로 활용하여 경영성과를 달성하려고 하는 모든 활동을 문화/예술 경영으로 지칭함
・예술경영학은 예술품의 생산과 유통, 판매를 주로 하는 기업이나 조직의 경영에 관한 연구, 산업예술이나 상품미학은 그 기업이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심미적인 요소를 부가하여 경영성과를 달성하려는 활동을 의미
・문화경영학(기업문화이론)은 해당조직 구성원의 공유신념이나 가치관 같은 무형의 문화적 자원을 전략적 요소로서 활용하고자 하는 경영관리 이론이며 기업문화 운동은 기업 내의 문화가 아니라 기업이 존재하고 있는 환경, 즉 해당 사회나 국가 전반의 문화나 예술관련 활동에 재정적 또는 인적 및 기타 자원을 지원하는 것임
③ 경제/경영문화학
・경제원리나 이에 입각한 행위도 그 사회가 처해 있는 문화적 맥락에 기인하여 일어나는 하위문화적 현상으로 봄
・경제성 개념이나 경영성과의 추구 자체를 특수문화적 현상으로 이해하려는 이론적 입장
④ 경제/경영 예술학(경제/경영미학)
・19세기 말러스킨은 예술에 대한 비(초)경제적 논리와 경제의 보완으로서의 예술과 문화를 주장하였으며, 더 나아가 경제행위나 경영행위를 예술적/심미적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시도가 등장함
・예술과 경영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보고, 경영행위 자체를 예술화/심미화하여 화폐적 이윤 이외에 예술적/심미적 목표를 달성하고자함
・“경영에서 예술은 가능한 인간의 표현을 모두 담을 수 있는 지식의 장이며, 인간의 심미성과 감성을 다루는 창조적 프로세스로서 가치를 지님”
“경영의 목적에서 예술은 기업의 심미적 차원을 관리하는 도구로 기업의 감성적 에너지적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음”
2) Phase 2: 문화예술과 기업의 파트너쉽의 발전적 모델로서 기업 관련 문화 예술교육 실행사례(2007~8)
– 최근 문화예술과 기업의 파트너쉽을 양자 실익의 관계로 설정하고 전략적 선택으로서 문화예술을 기업 경영으로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모델을 기업 내부고객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활동과 사회공헌활동으로서 기업의 외부고객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활동이라는 두 가지 방향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함
○ 기업환경에서의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메세나(전수환 외)
– 문화예술교육을 조직원(내부고객)을 대상으로 활용한 다양한 기업활동을 통해 기업과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접점을 찾아보고 보다 적극적인 연계방안을 모색
– 그 다양한 방안으로서 나타나는 실천 유형인 문화예술교육을 활용한 기업 내부공헌, 기업의 경쟁력강화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기획 및 실행, 더 나아가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사회공헌 활동 사례를 고찰함
① 문화예술교육을 활용한 내부공헌
・대표사례: 삼성전자 PRO 패밀리”, “린나이 팝스 오케스트라
・기업 인력개발 프로그램과 동호회에 대한 지속적 지원으로 사회공헌, 직원만족, 조직 인재개발, 조직문화 활동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음
②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대표사례: 풍류일가 산업예술교육 프로그램 “팀버튼”
・문화예술단체가 기업을 위한 창의적인 조직을 만듦으로써 개인과 조직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래/춤/연극/마술 등의 다양한 문화예술을 활용한 맞춤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예로서 미국, 영국 등에서는 십여 년 전부터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③ 문화예술교육 사회공헌
・대표사례: SK 텔레콤 청소년 음악교육, 다음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스쿨”,
CJ 문화재단 청소년연극워크숍, 에버랜드 작은학교 문화예술교육캠프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사회공헌은 정책적 지원 하에 기업 이미지 제고와 지역주민과의 소통과 커뮤니케이션, 잠재 소비자와 사회적 지지를 개발 할 수 있는 기업의 효과적인 전략 활동으로 인정받을 수 있음
○ 문화예술교육 메세나: 왜 기업이 학교와 예술교육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전수환 외)
– 문화예술교육 분야에 대한 기업의 참여가 늘면서 학교와 기업 간의 협력사업 사례가 증가하고 있음
– 그러나 대부분의 성공 사례들은 학교-기업-매개자(교육청 및 공공기관) 등의 시스템에 의한 것이 아니라 사회적 혁신가((Anatomy of an Entrepreneur)의 두뇌와 열정과 에너지에 의존하고 있으며, 왜 기업이 예술 교육을 지원해야 하는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명분 또한 부족한 현실임
– 학교 외 매개역할을 수행하여 협력사업을 전문적으로 담당하여 그 효과를 확대 재생산하는 공공 주체가 필수적이며, ‘나눔’의 개념이 기업과 학교뿐 만 아니라 ‘기업-학교-지역사회’라는 선순환구조 속에서 이해되고 추진되 어야 함
① 기업-학교의 연계(기업 주도)
・소니 코리아 소니스쿨시어터, 에버랜드 작은학교 문화예술교육캠프,
GS칼텍스 문화예술캠프
・기업 시민으로서의 기업의 전략적 활동으로서 사회공헌활동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속형/연수형 문화예술교육의 형태로 추진하고 있음. 기업의 이미지 제고 및 지역사회의 지지 확보, 미래 소비자 개발 등에 효과를 얻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으나 실행에 있어 전문적인 매개기관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상황임
② 학교-기업의 연계(학교 주도)
・봉평 면온초등학교, 전주 양지중학교
・자율적 창의교육 추진 학교가 주도하는 기업 만나기의 사례로서 주로 교내 여유 공간을 활용한 갤러리 및 문화공간 조성과 관련 소프트 인프라 구축에 앞장서고 있으며, 학교-기업 연계 사업에 비전과 열정을 지닌 학 교장의 리더십에 기대어 추진되어 보다 지속적인 추진을 통한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공적 지원과 함께 지역사회 및 지역 문화예술계의 지지와 실 질적 협력이 요구됨
3) Phase 3: 창조경영의 본격적인 대두와 경영미학의 등장(2010)
○ 문화예술을 통한 창조경영(전수환/한아린)
– 문화예술을 활용하여 내부조직원의 창조성 육성 사례를 연구하여 그 활용방 식의 직간접성과 활용 대상의 구분에 따라 “교육 프로그램/동호회/문화공간/ 조직문화”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함
① 교육프로그램형: 직원들이 문화예술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간접적으로 지원
예) 픽사대학, 포스코 포레카
② 동호회형: 조직원들이 문화예술활동에 취미 동아리 활동이 참여
예) 삼성전자 PRO 패밀리, 린나이 팝스 오케스트라
③ 문화공간형: 조직전반을 대상으로 공간조성을 통해 문화적 환경을 제공
예) NHN, 다음 커뮤니케이션
④ 문화조직형: 조직단위에서 조직운영방식(커뮤니케이션, 조직문화, 조직구 조)에 문화적 방식을 추구
예) LG 디스플레이, 아모레퍼시픽
– 문화예술을 통해서 조직내부를 위한 창조성을 증진시키려는 시도들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조직의 비전과 연계된 전략적 활동으로 인식되고 실행되고 있으며 각 유형별 특성이 융합된 사례도 발견되는 등 다양화, 고도화되고 있음. 이에 따라 창조경영을 위한 전문화된 실행이 요구되는 바임
세미나 발표 자료 및 동영상
(기업환경에서의 문화예술교육/문화예술교육 메세나: 왜 기업이 학교와 예술교육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1) 요약 및 향후 진행 공고
– 문화예술과 기업의 관계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기업에서 문화예술로의 일방향 지원에서, 문화예술이 기업에 미치는 효용에 대한 인식이 자리 잡으면서 기업 이미지 홍보와 마케팅 중심의 논의로 전개되었 음. 점차적으로 문화예술과 기업의 관계가 상호 이익을 추구하는 파트너쉽의 형태로 확장함. 향후 문화예술과 기업 간 파트너쉽은 통합적 관계로 이행될 전망이며, 이러한 변화 속에서 기업환경에서의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시도되고 발전을 거듭하고 있음
– 다음 수업까지 각자 관심있는 분야와 해당 기업을 선정하여 기업 내 문화예술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기획안을 제출하기 바라며, 4주차부터 기획안의 발표가 있을 예정임
2) 질의응답
4. 교육보조자료
– 「07_08 문화예술교육 박람회」기업환경에서의 문화예술교육(2007),
– 문화예술교육메세나: 왜 기업이 학교와 예술교육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2008)
– 발표 자료 및 동영상(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5. 참고문헌
– 이진아, 예술과 기업의 관계에 대하여, 계간 낭만음악 제14권(통권56호) 2002년 가을호, 2002
– 박광량, 심미성과 경제성: 예술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한국문화경제학회 「문화경제연구」 제5권 제1호, 2002
– 신유근, 인간 존중의 경영, 다산출판사, 1997, pp.203~203
– 전수환/한아린, 문화예술을 통한 창조경영, 창조경영연구 제4권 1호 (2011년 2월) pp.145-169, 2011
– 전수환 외 7인, 「07_08 문화예술교육 박람회」기업환경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
– 전수환 외 11인, 문화예술교육 메세나 세미나 – 왜 기업이 학교와 예술교육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8
– 한국문화정책개발원, 기업메세나 활성화 방안, 1995, pp.5~6
– Michael E. Porter, Competitive Advantage: creating and sustaining superior performance, Free Press, 1985
– Schiuma, The Value of Arts for Business, Arts for Business Institute, 2009
– 장대철 외 1인, 경영미학과 예술기반경영 연구, 카이스트경영대학,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