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습목표
조직문화의 변화를 통해 조직 전반의 혁신을 추구하는 기업 창조경영의 유형인 조직문화형 실행사례를 연구한다. 조직문화 구축에 대한 기업의 관심이 실제 기업 환경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성공적인 조직문화 창출을 위해 문화예술이 본산으로서 어떠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지 창의적으로 접근한다.
2. 학습성과
① 기업환경에서 실행되어온 조직문화형 창의경영 사례의 현황을 이해하고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② 기업의 독특한 조직문화 구축에 있어 기업 및 문화예술 영역에서 고려해야 할 점을 인지한다.
③ 학습자 개개인의 관심사와 각 활동 영역을 바탕으로, 실행가능하며 기업과 문화예술 간 파트너십의 지속 및 활성화에 발전적이고 대안적 시각을 제시하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다.
3. 주요 학습 내용
도입
보조자료
1) 지난 수업 내용 요약 정리
2) 금일 수업 진행 안내
– 지난 수업을 통해 소개한 바 있는, 문화예술을 통한 기업창의교육 지원사업의 이론적 기반이 된 ‘문화예술을 통한 창조경영’에서 제시한 기업 내 창의학습유형 분류 중 “조직문화형”의 실행사례로 LG 디스플레이와 아모레 퍼시픽의 시도들을 소개하고자 함. 두 기업은 조직문화의 창출을 통해 기업을 합리적 의지에 의해 서로의 이익과 능률에 따라 비인격적 인간관계가 형성된 ‘ 이익집단인 게젤샤프트(Gesellschaft)’로 보는 관점에서 기업을 하나의 유기체로 환경의 변화에 전사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게마인샤프트 (Gemeinschaft), 즉 대인관계가 단순하고 솔직한 자생적 의지에 의해 자연스럽고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집단으로 이행하려는 패러다임 변화를 시사함
– 사례 발표 후, 실행사례의 분석을 바탕으로 현황 분석과 시사점 도출을 통해 조직문화의 변화를 통해 조직의 혁신을 꾀하려는 기업들의 근본적인 시도가 지니는 의의를 알고,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문화예술은 그 파트너이자 영감의 원천으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지, 어떠한 역할이 요구되는 지 함께 생각해 보고자 함
“칩 콜리: 가치있는 삶의 계산 방식”
(TED 201 0 동영상)
전개
보조자료
1) LG 디스플레이
○ 추진 배경
– ‘세계에서 가장 일하고 싶은 직장을 만들라’는 권영수 사장의 비전 제시에 따라 2008년 ‘즐거운 직장팀’을 신설. 이 팀은 파주와 구미에 위치한 사업장의 ‘사원만족팀’과 연계하여 임직원들이 행복하게 근무할 수 있는 직장 문화를 꾸미는 일을 미션으로 삼음
○ 추진 내용 및 특성
– 주입식의 행복 강요가 아니라 실제로 직원들의 필요사항에 귀를 기울이고 행복 직장을 만들기 위한 제도적 장치들을 마련함. 매주 각 사업장별 사원 만족팀과 즐거운 직장팀은 화상회의를 가지고 각 사업장의 사례와 노하우를 공유함. 또한 180여명의 국내외 사업장 조직문화 담당자(Joyful member)들 이 일 년에 두 번씩 한 자리에 모이는 워크숍을 진행하여 각 사업부와 현장 에서 발굴하고 실행한 아이디어와 경험을 나눔
<주요 프로그램>
‘가화만사성
직원의 부모, 배우자, 자녀에 이르는 임직원 가족 연계 맞춤형 관리 프로그램 ’. 부모님 효도관광, 자녀를 위한 특강과 탐방 프로그램, 사원 가족 한마당, 아이 교육을 위한 임직원 특강
임산부 복지 프로그램
여성 직원들의 산후 조리 프로그램
기러기 아빠 대상 프로그램
가족과 멀리 떨어져 지내는 직원 대상으로 건강 관리를 도와줌
미혼직원 대상 미팅주선 프로그램
사내 결혼을 장려하는 미팅 프로그램. 사내 결혼에 성공하면 웨딩카로 사장님 관용차를 대여하는 등 혜택 제공
○ 효과 및 시사점
– 조직원들이 가정에 대한 의무와 책임의 수고를 덜고 회사 업무에 몰입하여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애사심과 충성도도 더불어 증진함
– 기업 조직에서 문화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전담팀이 운영되고 있고 전담 전문 인력에 대한 니즈도 증가하고 있음. 그러나 기업문화 구축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장기적 안목에서 전략을 수립하여 체계적인 일의 추진이 가능하도록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인력의 전문 양성은 요원한 실정이며, 주로 현장에서의 실행과 경험을 기반으로 임기응변식 대응이 이루어지 고 있음. 경영학에서도 조직문화 부분은 부차적인 교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문화예술적 소양을 지닌 문화기회자와 예술경영자 문화행정가의 진출에도 진입장벽이 높은 실정임. 향후 조직문화영역에서의 전문화된 인력 육성이 필요함
2) 아모레 퍼시픽
○ 조성 배경
– 1945년 창업 이래 국내 화장품 업계에서 독보적 1위를 견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글로벌 전략을 통해 유럽, 아시아 등에 진출하여 성공을 거둠. 2015년에는 전세계 10대 화장품 기업으로 진입하려는 비전을 제시하고 도약을 준비하고 있음. 이러한 조직 비전 아래, 하향식의 강압적인 문화 개조보다는 지역성을 인정하면서 개성있는 하위문화의 형성을 고취하여 글로벌 기업문화의 지향과 국내 본사 문화의 전통 유지가 결합된 가운데 둘 간의 다양성과 조화를 추구해야할 필요가 대두함
– 1980년대 들어 사업 다각화를 이루면서, 응집력이 강한 기존 임직원들은 새로 그룹에 편입된 계열사의 상이한 조직문화유형에 배타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기존의 응집력이 강한 조직이 하부 조직을 거느리게 되면서 1990년대 초 총파업 등 조직 문화의 총체적 분열 현상이 나타남. 이에 서경배 대표이 사를 필두로 기업문화팀은 위기 극복을 위해 기업을 하나의 부족사회로 보는 문화인류학적 방법론을 도입하고 기업문화 창출 장기 프로젝트를 시작함
○ 조성 세부 내용 및 특성
– ‘기업문화’에 대한 정의를 타 기업과 차별화하여 유전적인 암호(DNA)와 같 은 조직구성원의 무의식과 의식(가치관)으로 정의함. ‘기업문화=가치관’이라는 도식에 기반한 일방적 사고체계가 가져올 수 있는 지니는 슬로건식 폐해를 지양함. ‘신화, 의례, 문화코드, 정체성’과 같은 무의식의 심층 구성 요소를 파악하고 기업의 비전 및 전략에 맞추어 심층 구성 요소를 새롭게 재구성함(고경래, 2009)
– ‘동양의 미(Asian Beauty)’를 100년 이후에도 지속되어야 할 일로 간주하고 장기적 비전 달성,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만드는 힘을 기업 문화로 설정함
– 아모레 퍼시픽이 지향하는 기업 문화는 조직구성원이 자신이 누구인지, 그 존재이유를 알고 대의를 달성하기 위해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로서 조직에 대한 단순한 충성이 아니라 대의를 달성하는데 기반을 두는 강한 응집력을 지니는 것을 목표로 함. 회사 내외부로의 원활한 소통 능력과 환경변화에 유연히 대응하는 높은 개방성 또한 추구함. 결국, 기업은 각 부문, 팀, 개인 의 역할이 연결된 유기체로 환경의 변화에 전사적이고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을 갖추게 됨
<추진 프로젝트>
2005년
창립 60주년을 맞으며 기업문화 변화 프로젝트 시작
2006년
프랑스 컨설팅 회사 BAROCCO사를 통해 현재의 기업문화 진단
향후 정립하고자 하는 기업문화 체계를 수립
2007년
인식과 담론 형성을 위해 ‘AMOREPACIFIC WAY’선포 및 위로부터의 전파
10주간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놀이북’을 통해 자연스러운 변화 유도
2008년
하위 조직별 문화분석 및 개별 링크 작업, 행동규범전략 수립 및 실행
○ 효과 및 시사점
– 조직문화를 바꾸어 나가는 방식은 문화에 대한 이해, 인간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구성되어야 함. 문화는 무의식의 심층구조에 대한 성찰 및 이에 대한 조직원들의 인식과 각성, 그리고 소통을 통해서 점차적으로 하위 문화에서 상향식으로 형성됨
– 이를 위해 정신분석학이나 문화인류학과 같은 관련 학문의 이해를 기반으로 한 추진방법론의 도입이 필수적임
3) 함께 생각하고 이야기 나눌 문제들
– 기업의 전략적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기업문화 창출이 추진되기 위해서 필요한 조건에는 무엇이 있을까?
– 문화예술이 기업문화 창출에 기여하는 바는 무엇인가. 단순한 도구적 역할이 아닌 기업의 근본 가치로서 경영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그려 볼 수 있는가?
– 문화예술이 기업의 파트너이자 영감의 원천으로 조직문화 창출에 어떠한 구체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지, 어떠한 역할이 요구되는지 논의해 보자
종결
1) 요약 및 학생 기획안 발표
유형1
유형2
분류기준
사례명
현황 및 시사점
조직문화형
조직
대상
직접활용
LG 디스플레이
– 기업의 조직문화 담당하는 전담팀 운영
– 전문인력 육성체계 마련 필요
아모레퍼시픽
–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에 기반한 실행 필요
– 문화인류학, 정신분석학 활용 방법론 활용
2) 질의응답
4. 교육보조자료
– TED 발표자료, 칩 콜리: 가치있는 삶의 계산 방식, 2010
(http://www.ted.com/talks/lang/ko/chip_conley_measuring_what_makes_life_worthwhile.html)
5. 참고문헌
– 전수환/한아린, 문화예술을 통한 창조경영, 창조경영연구 제4권 1호 (2011년 2월) pp.145-169, 2011
– 전수환 외 7인, 「07_08 문화예술교육 박람회」기업환경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
– 고경래, 「기업문화 혁신의 해답, 무의식에서 찾아라, 신한 FSB 보고서 9월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