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주차] 아트 컴퍼니 1

1. 학습목표

 – 21세기 창조경제에 대하여 알아본다.

 – 창조경영의 다양한 사례들을 짚어본다.

 – 아트 컴퍼니에 대하여 알아본다.

 

2. 학습성과

창조경영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창조경영을 이해할 수 있다.

 

3. 주요 학습 내용

도입

보조자료

1. 지난 수업 내용 요약 정리

2. 출석 확인

전개

보조자료

1. 21C 창조경제- 창조 무브먼트

◾ 미국기업은 품질 무브먼트를 체화하는데 20년 걸렸다. 마찬가지로 창조 무브먼트로의 전환 역시 20년이 걸릴 것이다.

-게리해멀, 비즈니스위크

◾ 구글의창조경영방법

– 에릭슈미트회장; .열개의황금률.

– 최고문화책임자(CCO)와행복도조사

◾ 창조경영의세가지측면

– Idea Economy –아이디어나지식이경제적가치의원천이되고새로운산업섹터로서대두해갂다

– Art Economy –창조적산업이나기존의산업에잇어아이디어를제공하는새로운세대가대두하고, 그러핚세대가홗약하는새로운사회가도래핚다

– Innovation Economy; 지식기반조직으로의변화–그러핚(2)시대의기업이나조직의변화

◾ 제조업의문제(숙제)

– 창조경영으로의 변혁압력

– 창조를 넘어서는 능력, 제조를 최대한 살리는 능력이 필요

– 서비스화가 아닌 지식화(창조경영의본질)가 필요

◾ 지식화란

– HW, SW, 시스템, 서비스, 비즈니스모델을 종합(구조화)하여 하나로 만드는 지적 작업

◾ 새로운 제품, 제조의 개념

– iPod의 스테인레스 뒷면

-디자인우선, 비용/고객니즈보다도

– 애플의“제조” 의미

– 개념만들기, 경험만들기, 이야기만들기

– HW, SW, 서비스(비즈니스)의트라이 앵글 결합

◾ 제품의 개념을 바꾸는 3가지 축

– 시간: 라이프사이클, 시간에 따라 완성되는 제품 – 경험가치

– 감성: 감성적 자질, 탈 기능주의–인간중심, “제품에 인간성을 부여”

– 사회: 사회/환경적 비즈니스 모델 – Natural Capital, BOP(Bottom of the Pyramid), New Gift Economy

◾ 디자인(지식디자인)

– 사회적 전망을 경영과 기술에 부여하여 형태로 만드는 매개 역할:Mediation

– HW와 SW, 서비스등의 이질적인 요소를 통합하는 결합의 역할: Connection

– 장기적인 전략과 경영, 시장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시각화 형태화하는 형성의 역할: Formation

– 제품공급 논리에서 수요창조 논리로

◾ 기업의 의미변화

– 기술기업에서 품질기업으로, 품질기업에서 창조기업으로 전환

– 기업자산으로서의 진지함(Sincere)

– 에코 에티카(echo ethica)

– 기업의 목적은 경쟁에서 이기는 것 또는 상대적 우위를 차지하는 것이 아닌 그 한 가운데 사회지에 대한 시선이나 기업윤리에 대한 자세 즉 진지함이다. 전략이나 상품기획보다 사회성 문화성의 관점에서 목적을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 지식창조 패러다임의 전환

– 조직화 되어가는 개인의 네트워크: 화이트칼라 -> 지식근로자

– 프로페셔널의 개념 재고: 창조적 지식근로자를 프로페셔널이 뒷받침하는 시대로 전환

– 경영자의 역할: 프로페셔널리즘을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재능을 발굴하여 사회적으로 승화시키는 코치이자 에이전트같은 존재

– 지식디자인: 진지함에 담겨진 인간 본래의 창조성을 해방하여 거기서 드러나는 다양한 가치를 종합하여 성과로 이어가는 새로운 방법론

 

2. 창조경영의 사례들

1) 스티브 잡스와 애플

◾ 1997년 돌아온 잡스: 매니지먼트, 전략, 분석이라는 비인간적 관리의 주박에서 해방시키고 창조적 혈기를 조직의 구석구석까지 순환시키는 일

◾ Closed Approach(사용자 조사를 실시하지 않았음)

◾ 잡스 자신이 슈퍼 사용자

◾ 디자인과 심미성으로 사내커뮤니케이션 도모, 이노베이션 만듦

◾ 미적 판단력과 실천적 지식이 중요

2) 하워드 슐츠와 스타벅스

◾ 스타벅스의 비전

◾ “전 사원이 함께 승리자가 되겠다”는 철저한 사원 본위의 자세

◾ 1994년 매장 디자인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하우스 디자이너를 고용하고, 비밀 스튜디오를 마련하였음

◾ “진정한 커피의 맛을 체험하고, 널찍한 정면 현관, 신속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조용한 한 때를 즐길 수 있는 풍성하고 충실한 분위기” – 체험을 연출하는 디자인

3) 제임스 다이슨과 다이슨 청소기

◾ 인간을 위하는 관점, 강렬한 경험에서 발상

◾ 진보는 고정관념에 사로 잡히지 않는 수평적 사고와 경험을 통해서 성취할 수 있음

◾ 인간에 대한 본질적 관점과 철학의 관점이 중요

4) 리처드 브랜슨과 버진 그룹

◾ 선진적인 브랜드를 가진 벤처 캐피탈 조직

◾ 가격에 걸맞는 가치, 품질, 이노베이션, 즐거움, 경쟁과 도전을 소비자/고객에게 주는 것이 사명

◾ “즐거움을 팔아라”

◾ 환경문제, 사회문제로 관심이 확대

◾ 인간중심적 접근법

– Virgin United(자선 프로그램)

– Earth Challenge(지구 살리기)

5) 로렌조 플루사와 캠퍼

◾ Camper는 카탈로니아어로 농부라는 의미

◾ 신발을 파는 것이 아닌 “아름답게 걷는 경험을 판다”

◾ 이노베이션의 전통과 혁신, 로컬과 글로벌, 기능성과 멋, 현대성과 패션이 아닌 것 등을 초월하는 힘으로 디자인 이용

◾ 걷는다는 인간적인 생활, 차를 타지 않는 것, 환경에 대한 배려

6) 라스콜린과 오티콘

◾ 덴마크 보청기 회사

◾ 세례최초 완전자동 보청기 – 멀티포커스, 디지포커스

◾ 조직 개혁 – 프로젝트형 개발: 스파게티 조직, 비조직

◾ 보청기의 의미를 바꿈

– 청각문제 해결의 기능 -> 창조적 인생을 위한 수단

7) 창조경영 리더들의 공통점

◾ 능력이아닌자질, 삶의방식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비즈니스모델, 그 모든 것을 잘 조합하여 하나의 세계(질 높은 소비나 사용의 프로세스, 경험이나 스토리)를 만들어내는 디자인

– 세상의 다양한 일들이나 현상, 대량의 정보나 지식속에서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고 즐겁게, 풍요롭게 하고 지적으로 만드는 패턴을 읽어내는 능력, 그것들을 잇는 사회의 심층요인을 간파하는 통찰

– 사회, 문화, 우주, 지구, 생명에 대한 진지한 자세

– 인간의 무한한 창조성을 믿고 그것을 해방하기 위한 일관된 정열, 살기위한 철학, 감성의 힘의 해방

◾ 미학적경영자-행위나 탁월성을 창출하는 능력

◾ Art Firm

– 피에르드몬스가 제시한 기업모델

– 현대적 기업의 방향성

– 미학이나 예술적사고를 기반으로 성립

– 경영자(리더)는 지식근로자를 이끄는 프로듀서 또는 아티스트로서의 성격을 강화

 

3. Art Company

◾ 지식이란 가치를 창출하는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사람들의 지식이 조직적으로 집적되어 매일 새롭게 창조되고 있는가의 여부

◾ 지식디자인: 아트컴퍼니의 창조적 방법론

– 지식창조 * 디자인

– 가설추론 사고 + 인공물의 디자인

– 제품 = 지식창조의 프로세스

◾ 지식근로자의 시대

– 새로운 가치 생산형태의 출현

– 지식근로자란 생산수단을 스스로 갖는 노동자

– 지식근로자 위계 조직이 없고, 역동적 네트워크, 개인의 행위가 조직 전체에 적용

◾ 창조경영

– 종래의 전략적 사고로는 판단하기 어려운 지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능력 요구

– 감성에 의해 대상의 가치를 판단하는 것: 미학경영

– 주관적 판단의 방법론 제공

◾ 아트 컴퍼니의 요건

– 디자인 역량을 가질 것

– 진선미를 추구하며 진지함과 윤리를 넘어 미를 실현할 것

– 조직으로서의 풍부한 지식을 가질 것

1) 요약 및 향후 진행 공고

2) 질의응답

 

4. 교육보조자료 및 참고문헌

– [아트컴퍼니] 곤노 노부루, 이콘출판사, 2008

– 애플 홈페이지 http://www.apple.com/itunes/

– 다이슨 홈페이지 http://www.dyson.co.uk/vacuums/

– 버진그룹 홈페이지http://www.virgin.com/

– 캠퍼 홈페이지http://www.camper.com/

– 오티콘 홈페이지http://www.otic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