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주차] 기업창의학습모델 – 문화예술 업무프로세스 적용: 경영미학 Ⅱ

 

1. 학습목표

예술의 창의적 프로세스를 기업 경영에 도입하는 예술기반 경영의 전개와 이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북미와 유럽에서 이미 실행 중인 기업의 사례들과 예술기반 경영 지원 단체 및 컨설팅 프로그램을 예술기반 경영의 이론적 틀(A-BC-P 프레임워크)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2. 학습성과

① 예술기반 경영의 실천 사례들에서 활동의 내용과 효과, 제약 조건을 분석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② 각 사례 별 시사점의 도출을 통해 예술기반 경영의 전망과 과제에 대한 각자의 견해를 가진다.

③ 학습자 개개인의 관심사와 각 활동 영역을 바탕으로, 실행가능하며 기업과 문화예술 간 파트너십의 지속 및 활성화에 발전적이고 대안적 시각을 제시하는 창의학습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다.

 

3. 주요 학습 내용

도입

보조자료

1) 지난 수업 내용 요약 정리

2) 금일 수업 진행 안내

– 지난 시간까지 예술의 창의적 프로세스를 기업 경영에 도입하는 예술기반 경영이 어떻게 등장했는지, 왜 예술과 경영이 통합된 관계로까지 모색될 수 있는지에 대한 모색과 함께 최근 10여년부터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예술기반 경영의 이론적/실천적 형성 궤적을 살펴보았음

– 금일 수업에서는 예술기반 경영의 이론적 틀(A-BC-P 프레임워크)을 기본으로 북미와 유럽에서 성과를 거둔 기업의 실행사례들과 예술기반 경영 지원 단체 및 컨설팅 프로그램을 세세히 살펴보려고 함. 각 사례들을 예술과 경영의 기능 측면에서 매트릭스화하고, 예술의 적용 방식 및 활용도의 측면을 분석할 것임.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예술기반 경영이 나아가야할 방향과 확산 및 진화를 위한 선결 과제에 대해 논의해 볼 것임

전개

보조자료

1) 기업의 실행 사례

○ 연극을 이용한 리더십개발과 협력증진

: Harcourt Assessment: TAI Group의 연극프로그램 활용(Thomson,2010)

– 2006년 미국을 대표하는 각종 인증시험 및 평가와 출판사업 기업인 Harcourt Assessment의 CEO는 리더십과 조직 내 협력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함. 고객의 수가 줄고 재정적으로도 문제가 발 생함

– 조직 내 협력과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해 연극에 기반한 훈련을 제공하는 컨설팅 회사인 TAI Group과 함께 개인들의 창의력과 리더십역량, 협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연극에 기반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음. 직원들 간의 개인적인 스토리를 공유하고, 서로간에 솔직한 피드백을 주고 받게 함. 업무 환경에서의 실제 사례에 기반한 연극을 통해 자신이 다른 사람과 함께 일하는 방법을 객관적 입장에 볼 수 있도록 함

– 프로젝트의 결과 2006년 중반 위험했던 재정상태가 2007년에는 회복되었고, 직원만족도 조사 결과, 분명한 태도의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 조형물을 이용하여 공동의 목표수립

: NTT communications: 조형물을 이용한 전략기획(Siler,2010)

– 전 세계 30개국에 지사 및 자회사를 가지고 있는 글로벌 통신회사인 NTT communications 는 미국의 웹호스팅 회사인 Verio를 인수했을 때 서로 다른 문화(동양과 서양)와 경영 철학을 가지고 있는 규모가 큰 두 회사가 합병되면서 문화적 통일성과 협력이 문제로 대두됨

– 문제해결을 위해 NTT와 Verio를 대표하는 27명의 고위관리자(senior executives)를 대상으로 조형물을 사용하여 문화를 뛰어넘은 협력모델을 개발하는 전략기획세션을 진행하였음. 조형물을 만드는 과정은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 증진시켰고, 팀웍을 강화시켰으며, 공통의 목표와 미래에 대해 깊이 있게 이야기 나누며 공유하는 기회였음

– 그 결과 조직의 전략을 깊이 생각하고, 공유하며, 전략을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음

○ 시인을 고용하여 창의력을 자극함

: Unilever: 창의력 자극을 위해 시인을 고용함(Boyle&Ottensmeyer,2005)

– Unilever에서는 혁신을 중시하는 진취적인 문화 (Enterprise Culture)를 만들기 위해 직원들과 관리 자를 대상으로 예술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며, 연극, 그림, 시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예술을 창의력의 촉매로 사용하였음

– 그 일환으로 시인을 제품개발센터에 고용하였으며, 시인은 팀에 합류하여 직원들에게 계속해서 감성적인 직관(insight)을 제공함

– 그 결과 시인이 속해있던 섬유유연제 혁신그룹은 여러 다른 제품들의 혁신 그룹들 중에서 가장 창의력이 뛰어난 그룹으로 회사 내에서 명성을 쌓게 되 었음

○ 밴드경험을 살린 경영관리 지표개발

: benefEx benefit consulting: 밴드그룹 운영방식 적용(Daum,2005)

– 이 회사의 CEO는 헤비메탈 밴드 리더로서의 경험을 활용하여 컨설턴트들의 회사에 대한 충성도/몰입도(commitment) 를 확인하는 경영관리 지표를 개발함

– 그 결과 컨설턴트들의 이직률이 감소하면서 교육비용이 50% 감소하였고, 적은 인원으로 많은 이익을 창출하는 효율성 높은 컨설턴 트 집단을 보유하게 되었음

2) 예술기반 경영 지원단체 및 컨설팅 프로그램

○ Schiuma(2009)_예술기반경영 컨설팅프로그램 실행과정

1) 기대감 부여: 참여자들에게 그들이 참여하는 예술기반 이니셔티브의 가치를 이해시킴. 가치를 부여하여 참여자들이 열의와 의무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 목적임

2) 소개하기: 예술기반 이니셔티브의 설계 형태, 예술가 및 예술적 형태의 역할, 참여자들이 어떻게 해야하는지 등을 설명함. 설명을 통해 참여자들의 집중력을 높이고 오해를 방지함

3) 실행하기: 이 단계의 목표는 참여자들이 자신의 감정에 대해 이야기하게 할 수 있도록 참여자들의 감각을 강화하는 심미적 역동성(dynamics)을 조절(handle)하는 것임

4) 감상추출: 예술기반 이니셔티브 경험으로부터의 통찰을 모으는 것임. 참여자들이 예술경험에 대해 되새기는 시간을 갖고, 일상생활과의 연결점을 찾아 적용해 보며, 대화 및 문서 등을 통해 그것을 외면적으로 표현하게 함

5) 강화하기: 예술경험으로부터의 교훈과 통찰을 일상생활에 적용시켜 참여자들의 태도와 행동을 변화시킴. 그 경험에서 사용된 예술작품을 메타포로 이용하여, 일상 생활에 예술적 경험을 불러냄

○ Arts&Business in UK: 예술과 경영의 만남을 지원

– 예술 기관/단체 컨설팅 및 기업에 예술을 사용하는 경영 컨설팅을 제공하는 영국의 단체. 1979년 설립되었으며, 기업에게는 기업의 요구에 가장 잘 맞는 예술의 활용에 대한 컨설팅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음. 기업들과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예술 프로젝트에 대한 기금마련 등의 컨설팅을 제공하며, 예술가에게 경영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함. 또 한 예술프로그램에 지원하는 회사와 예술가 및 예술조직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함

– Google, Bank of America Merrill Lynch, BP 등의 유수한 글로벌 기업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으며, 영국 예술위원회, 영국 문화/미디어/스포츠 부 등 공공/민간 기관과의 파트너십 하에 영국 전역의 예술에 대한 민간부문 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역할을 수행함

– 컨설팅 중 창의력 훈련 워크샵은 국제적으로 성공한 연극기업인 Meagerie 와 함께 진행하며 커뮤니케이션, 팀빌딩, 창의력 및 혁신을 위한 연극, 음악, 영상을 도입한 프로그램을 진행

○ Americans for the Arts: 예술 지원 단체로 예술기반 기업훈련 제공

– 예술지원단체인 Americans for the Arts에서는 2005년부터 기업과 예술공동체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Arts & Business Partnership 프로그램 및 단체를 운영하고 있음

– 예술을 위한 경영의 자원봉사: 이 자원봉사프로그램은 비영리 예술단체의 경영을 개선하고, 경영전문가에게 그들이 속한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예술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경영자에게는 예술의 영역에서 경영 리더십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 자원봉사 프로그램은 1975년부터 시행되었으며 100만 달러 이상의 가치가 있는 서비스의 기부를 창출하였음

– 예술기반 기업훈련(Corporate Training): 예술기반 기업훈련은 다양한 예술을 통해 직원의 능력을 개발하는 활동임. 60여 개가 넘는 기업이 이 단체를 통해 훈련을 시행하였음

○ TAI Group: 연극기반 훈련프로그램을 제공

– TAI Group은 연극에 기반한 훈련을 통해 리더십 및 조직의 변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컨설팅 회사임. 31년 간 기업과 개인들의 요구에 맞추어 프로그램을 제공해 왔음

– 의미 있는 협력의 육성(Fosters meaningful collaboration), 혁신과 창의력이 발휘될 수 있는 환경의 촉진(Promotes an environment in which creativity and innovation thrive), 영감을 줄 수 있는 리더와 조직을 육성을 목표로 예술가-컨설팅 코치를 양성하여 리더십 개발, 커뮤니케이션 촉진, 조직개발 프로그램을 제공함

○ The MAP Consortium: 연극기반 훈련프로그램을 제공

– 영국에 기반을 둔 예술가 집단으로 기업의 창의력, 팀빌딩 등 학습 및 능력 개발에 다양한 도구를 제공하고 있음. 이 단체의 특징은 기업, 공공 및 교육 분야의 요구에 맞추어, 연극, 무용, 글쓰기 등 각 상황에 맞는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그에 맞는 예술가들로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고객을 지원하는 것임

– 대표 프로그램 중 뮤즈(Muse)는 예술가와의 대화를 통해 문제를 재조명하고, 조직의 문화를 다시 만들고, 비전을 다시 세우는 활동으로 성과를 거두고 있음

○ The Bigger Picture in Denmark: 그래픽 레코딩 및 전략기획 지원

– 기업의 경영이슈를 그림 및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하여, 복잡한 경영문제의 본질의 논의할 수 있도록 돕는 그래픽 레코딩(Graphic Record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덴마크 기업. 2003년 설립되었으며, 15명의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 전략 컨설턴트, 일러스트레이터, 교육 코디네이터, 영화제작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팀을 이루고 있음

– 파워포인트로만 이루어졌던 회의에서 그림으로 내용을 전달하고, 그림을 통해 회의의 결과를 기억에 남게 요약하며, 애니메이션을 이용하여 사업의 본질을 전달하고, 비전을 나타냄. 제공하는 서비스는 그래픽 레코딩(Graphic facilitation), 이벤트 요약(Event summaries), 커뮤니케이션 및 대화의 도구 제공(Communication and dialogue tools), 애니메이션 비디오 제작 (Animated videos), 그래픽 레코딩 교육(Graphic facilitation training) 등이 있음

○ Think Like a Genius, LLC: 조형물 전략기획 및 비전 정립 프로그램

– Think Like a Genius(TLG)는 “메타포밍”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혁신과 경영 문제해결을 가속화하기 위해 고안된 혁신 워크샵을 제공함. 경영문제를 나타내는 5D 상징모델을 제작하면서, 이를 메타포로 이용하여 경영 문제를 탐구함. 5D 상징모델은 단어(words), 이미지(image), 움직임(motion), 물체 (object), 상징(symbolism)을 이용하여 의미를 표현하는 것을 의미함

– 이를 통해 기업의 혁신과 문제해결을 가속화하고, 현재 경영문제를 새로운 방법으로 접근하며, 직원들의 혁신적 사고를 이끌어내고 잠재하게 하며, 기업의 로드맵을 구체화함

3) 예술기반 경영의 향후 연구과제와 전망

– 기존 문헌들에서는 급변하는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경영에 있어서 예술을 적용하여 창의성을 확보하는 일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으며 실제로 예술을 경영에 적용한 많은 기업 사례가 존재하며, 이를 위한 컨설팅 프로그램 및 정 책적 지원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하지만 예술기반경영의 유용성과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효과를 측정한 연구가 거의 없고 실행에 있어서 제약조건들에 대한 파악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고 있음. 따라서 예술기반 경영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예술기반 경영활동의 효과를 측정하고, 제약조건을 파악하여 이를 개선하는 연구 및 실행이 필요함. 또한 실제 실행을 통해 예술기반 경영의 다양한 관계자들의 이해 상충 에 따른 한계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과 경영의 활동이 필수적임

경영미학과 예술기반경영 연구 사례 사진 및 영상 자료

종결

1) 요약 및 학생 기획안 발표

2) 질의응답

 

4. 교육보고자료

경영미학과 예술기반 연구사례 사진 및 영상자료

 

5. 참고 문헌

– 전수환/한아린, 문화예술을 통한 창조경영, 창조경영연구 제4권 1호 (2011년 2월) pp.145-169, 2011

–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학협력단, 문화예술을 통한 기업창의학습과 사회공헌 워크숍, 문화체육관광부, 2012

– 장대철, 경영미학과 예술기반경영 연구(ABM: Arts-Based Management), 카이스트 경영대학,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