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 학위논문, 2012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경영과 전문사
최선일
Abstract
본 논문은 문헌언구, 사례연구를 토대로 실행연구과정을 통해 변화하는 환경과 소비자, 관객의 요구를 대처하기 위한 방법으로 ‘관객 참여’를 권한다.
문헌연구는 기존 경영분야의 ‘고객 참여’와 ‘사용자 이론(user innovation)’을 통해 참여적 고객들에 대한 연구와 그 결과에 주목한다. 사례 연구는 간호문화를 위한 컨텐츠 개발로 시작된 서울대학교 병원 간호대학 내 창작뮤지컬 ‘장밋빛 인생 Build-Up 프로젝트’ 사례를 들고 있다. 간호사들의 이야기가 담긴 20여분의 뮤지컬 ‘장밋빛 인생’은 현장간호사 및 은퇴간호사, 기타 간호분야 관계자 등, 세 그룹으로 나눠 인터뷰 진행 후 대본이 완성되었다. 이후, 간호분야 관계자들을 관객으로 두 차례 상연되었으며 관람 후에는 관객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공연작품을 업그레이드 하여 ‘장밋빛 인생 II’를 공연하기로 결정하고, 작품 업그레이드를 위해 ‘Art for nursing’이 설계, 진행되었다.
‘Art for nursing’은 첫째, 간호사들이 스스로 스토리를 창작하고 장면 구성을 하는 관객 참여 창작 워크숍과, 둘째, Build-Up한 작품에 직접 간호사들이 배우로 참여하여 한 편의 뮤지컬을 완성해 무대에 올리는 예술참여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10회차에 걸친 프로그램이 끝나고 2012년 2월, 간호사 10여명과 배우 3명이 출연진으로 구성된 ‘장밋빛 인생 II’이 300여명의 관객 앞에서 상연되었다.
‘장밋빛 인생 II’는 공연 기획단계에서 관객 인터뷰, 시험공연을 통한 설문조사, 관객 대상의 창작워크숍, 관객이 직접 배역을 맡아 출연하여 관객 참여형 공연제작방식을 적용했다.
공연상품 제작의 시점으로 바라본다면, 제작과정 속 관객들의 능동적 참여는 프로덕션 입장에서 고객과의 소통, 니즈 파악, 콘텐츠를 완성하는 과정의 새로운 체험의 기회이며, 관객들은 본인들이 원하는 공연상품의 제작을 위해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그 결과 본인들이 만족한 공연상품을 얻을 수 있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었다.
‘관객 참여’ 실행연구를 통해 제작자 및 프러덕션이 누릴 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관객들의 필요(needs)를 관객 스스로 능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둠으로써 관객이 만족하는 매력적인 공연 상품의 개발이 가능하다.
둘째, 관객 및 시장조사에 대한 비용의 추가적 지출 없이도 새로운 관객 개발에 대한 만족스러운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공연 상품에 대한 새로운 경험과 더불어 자신의 의견이 반영되는 과정 속에 작품에 대한 소유효과(endowment effect)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새로운 관객 개발 및 충성 관객의 확보가 가능해진다.
넷째, 무엇보다 예술가들과 제작자들이 고민하는 예술적 의미와 가치의 효과적인 전달 측면에서 관객과의 깊고 친밀한 소통으로 공연이 전하고자 하는 의미와 감동을 효과적으로 관객에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논문은 위의 효과성을 짚은 후, 앞으로 공연 제작 과정 속에 관객 참여를 활용하는 것은 21세기 시장 환경 속에 보다 매력적인 공연상품의 개발과 완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라고 강조하며 마무리 짓는다.
* 본 논문은 한국예술종합학교 도서관에서 열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