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유럽 문화예술 창조경영의 정책적 지원 사례
나. Training Artists for Innovations
① 개요
혁신을 위한 예술가 훈련(TAFI) 프로젝트는 유럽의 예술적 개입 관련 매개기관 및 예술단체들이 참여하여 2011년 5월부터 2013년 4월까지 2년 간, 기업에서 예술가와 창조자들의 개입을 통해 협력과 창조가 촉진되는 과정을 조사 및 연구한다. 또 기업적 맥락에서 예술가와 창조가들을 훈련시키는, 완료되었거나 혹은 개발 중인 모델과 매개 플랫폼의 필요를 점검하고 있다.
5개 관련 기관 – 네덜란드의 Cultuur-Ondernemen(Culture Entrepreneurship)를 주축으로 덴마크의 Artlab 과 Kunstgreb APS, 핀란드 Theatre Academy Helsinki (TeaK), 스페인의 C2masi s.l., 스웨덴의 Skadebanan Vastra Gotaland AB (TILLT), 오스트리아의 Berufsforderungsinstitut Oberosterreich (BFI OO)이 프로젝트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으며 정책 제안 저술에는 벨기에의 KEA도 추가로 참여하고 있다.
기업과 작업하는 예술가에게 요구되는 역량 및 기술의 프레임워크를 도출하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목표이다. 그 결과로 예술가와 매개자, 기업이 참여하여 예술가 역량 프레임워크와 성공적인 훈련 모델 및 실제 사례, 예술가의 개입을 통한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문화 정책 제안을 담은 가이드 북을 발간하고 있다.
② 주요활동
▪ 킥 오프 미팅과 수차례의 Co-Creation Salon 회의와 워크숍을 진행하였으며, 2013년 4월 브뤼셀에서 열린 마지막 컨퍼런스에서 2년간의 협력 프로젝트 결과를 발표하였다.
▪ 혁신을 위한 예술가 훈련, 새로운 맥락을 위한 요구 역량들(Training Artists for Innovation, Competences for new Contexts) 컨퍼런스(2013년 4월)
– 혁신을 위한 도구로서 예술적 개입을 전달하기 위한 예술가의 훈련을 함께 성찰함. 예술가가 필요로 하는 역량의 프레임 워크와 예술적 개입을 실행하기 위해 예술가를 훈련시키는 커리큘럼 모델을 공개함
– 고위 공무원, 정치가들이 예술가와 함께 예술적 개입을 위한 예술가의 훈련이 어떻게 혁신을 일으키는지, 어떠한 방법이 더욱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유럽을 만드는 데에 기여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함
▪ ‘Training Artists for Innovation, Competences for new Contexts’ 가이드북 발간: 기업의 예술적 개입에 있어서 예술가에게 요구되는 능력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어떻게 예술가의 훈련을 위한 커리큘럼을 만들 것이며, 어떻게 예술적 개입의 제작자들이 예술가를 위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인지 다루고 있다.
③ 연구성과
● 혁신을 위한 예술가 훈련 – 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Training artists for innovation – why, what and how?)
▪ 예술가에게 필요한 기술과 역량을 분석 및 비교함
▪ 예술가와 기업,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함
▪ Knowledge, Skill, Competence 등 관련 개념은 European Qualifications Framework(EQF) 에 준함
– Knowledge(지식): 주제를 이해하는 이론적, 사실에 기반하는 영역
– Skill (기술): 특정 직무,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
– Competence(역량):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지식, 노하우, 관련지식을 적용하기 위해 증명되고 묘사된 능력
● 예술가에게 필요한 기술 및 역량
● 예술가 훈련의 커리큘럼 구성
▪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예술가 훈련 커리큘럼의 구성
1) 도입부에 이론과 워크샵, 코칭이 결합된 모듈이 몇 주간 진행됨
2) 수 주에서 2달 정도의 실습이 이어지는데, 여기에서 개인 코칭과 이론 세션이 더해지며 마지막으로 이 현장작업의 결과가 발표됨
3) 다음 단계는 실행 결과에 대한 아주 정교한 조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강의와 워크샵의 통합 형태로 진행됨. 이 단계에서 능숙도(Competence)와 지식체(Bodies of Knowledge) 를 얻을 수 있음
▪ 마지막 단계는 평가나 실습 프로젝트로 이어질 수 있으며, 때로는 조직에서의 2차 실행으로도 이어짐
지식체(Bodies of Knowledge): 일정 전문가 협회에 의해서 정의되며 일정 전문 영역을 이루는 개념, 용어, 활동의 완전한 집합을 의미함
● 예술가의 요구역량 프레임 워크 (Qualification framework for artists in artistic interventions)
▪ 다양한 조직의 환경에 성공적으로 예술적 개입을 이끌기 위해서 필요한 복잡한 기술과 지식의 복합체를 규명하고, 설명한다.
▪ 대학원이나 평생교육과정에서 예술가 훈련을 위한 커리큘럼을 계획할 때에 기본자료가 되며, 예술적 개입의 실행 과정 중 진단 기준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 그림과 같이 EQF에서 제시한 인간 역량 4개 분류(개인적, 윤리적, 기능적, 인지적 역량)의 선이 7개 영역의 역량(맥락적, 교육적, 연구적, 마케팅적, 프로젝트 운영적, 사회적, 예술적 영역)에 통합되어 있다.
● 맥락적(Contextual) 역량
▪ 예술과 조직의 맥락 사이에 중요한 차이를 이해하는 것
▪ 다른 영역, 조직 구조, 조직 환경, 경제 사이의 이해와 능력: 개인/공동/비영리 단체, 소/중/대, 상품/서비스/지식/경험, 수직적/수평적, 전통적/혁신적 차이 등
▪ 사회와 조직 안에서 현존하거나 곧 나타날 트렌드의 인식, 예를 들어 경험 경제, 사회적 책임, 지식 관리, 제품 혁신, 사회적 혁신, 창조성 등을 이해하는 것
▪ 조직 내에서 구체적인 필요를 파악하고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표현하는 능력
▪ 조직의 성공 요건을 파악하고, 표현하고, 도전하는 능력
▪ 협상, 계약, 실행, 평가에서 말과 글로써 자유롭게 의사소통하는 능력
● 예술적(Artistic) 역량
▪ 핵심 역량으로서 자신의 예술 작업과 예술적 과정에 대한 이해
▪ 예술적 개입의 접근방법과 예술 기반 방법론에 대한 지식
▪ 예술적이고 창조적인 과정에 대한 경험적 지식
▪ 예술적 자각과 사고의 성찰적 방식
▪ 예술에 대한 실용적 지식
● 마케팅(Marketing) 역량
▪ 시장을 조사하고 파악하는 능력
▪ 조직을 위한 다른 접근 방식의 인지
▪ 마케팅과 다른 작업을 연계하는 시간 프레임을 만드는 것
▪ 적절한 플랫폼과 전문적인 네트워크 안에서 가시성을 얻는 방법
▪ 경쟁자에 대한 지식
▪ 전문적인 마케팅 자료 작성의 기초 –웹사이트, 사진, 글, 비디오, 추천글 작성
▪ 자료의 사용자에 맞추어 언어와 관점을 도구화하는 능력
▪ 가격, 계산, 협상하는 능력
● 프로젝트 운영(Project management) 역량
▪ 예술적 개입의 전체 디자인
▪ 일반적인 관리 기술: 문제, 타겟 설정, 구성요소, 시간 계획, 예산 등을 계획하는 일
▪ 사용자 기반 관점 지식, 예술적 프레임 내의 실행 관찰
▪ 상호작용 디자인
▪ 나타내고, 변화시키고, 조정하고, 관리하는 능력
▪ 예술적 개입을 위한 자료를 만드는 능력
▪ 파트너, 타 업체와 일하는 법
▪ 서류작업, 계약, 임금, 세금 관련 업무
▪ 예술적 개입의 결과를 문서화하고, 평가하고, 말로 풀어내는 능력
● 사회적(Social) 역량
▪ 다른 성공적인 개입의 사례들로부터 어떻게 신뢰성을 쌓는지에 대한 경험적 지식
▪ 다른 사람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로써, 전제, 문화, 의사소통 지식
▪ 적극적인 듣기 능력 및 피드백 능력
▪ 리더와 스텝간의 눈높이를 맞추는 능력
▪ 다른 종류의 성격, 동기 유발, 협력 가능성을 다루는 일
▪ 조직 내에서 적절한 톤으로 말하고 쓰는 의사소통법
▪ 예술적 개입 동안 경험하는 조직내의 모든 조건, 개인과 문제들에 대한 비밀과 같은, 행동규범을 다루는 일
● 연구(Research) 역량
▪ 새로운 종류의 예술적 개입이나 액션을 시도하는 계획 중일때, 연구를 위한 확실한 프레임을 만드는 능력
▪ 방법과 개념 관련 지식: 제한없는 혁신, Theory U, 재생산, 프로젝트, 팀 빌딩, 뮤직 테라피 등
▪ Meta-perspective: 어떻게 사회와 조직의 변화 속에서 자신을 유지할 수 있는지의 문제
▪ 조직과 조직원 간의 대화 속에서 특정한 도전과 가능성 있는 문제에 대해 질문하고 파악하는 능력
▪ 예술적 개입 사례에서 어떻게 새로운 접근법을 마련하고 배우는 지
▪ 관련 연구 영역에서 예술적 개입을 위해서 어떻게 기존의 지식의 구조를 적용하고 개발하는지
▪ 확실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위한 특정한 개입을 디자인하는 능력
▪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디자인하는 능력
▪ 문서화하고, 서베이하고, 인터뷰하고, 포커스 그룹을 만들고, 관찰하는 능력
● 교육적(Pedagogic) 역량
▪ 현장을 정비하고, 분위기를 조성하고, 초기부터 관계를 만들어 내는 능력
▪ 모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프레임, 도전, 목적, 성공 요건, 계획을 소개하는 능력
▪ 개인 학습 스타일에 맞도록 개입 내용과 방식을 조정하고 적절한 교수법 접근, 개인의 피드백 방식을 사용하는 능력
▪ 참여를 이끄는, 동기부여하는, 관찰하는, 이해하는, 가정을 평가하는 방법을 용이하게 하는 일
▪ 자신의 부족한 역량을 파악하는 것
▪ 어떻게 예술적 개입을 소개할지, 지도하고, 설명하고, 가르치고, 설명하고, 비즈니스 용어를 사용할지에 대한 계획 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