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지원사례> 유럽연합의 Creative Clash

 

3. 유럽 문화예술 창조경영의 정책적 지원 사례

 

가. Creative Clash

① 개요

● 2009년 유럽 연합 Culture Program의 지원으로 출범한 비영리 기관으로, 현재 유럽 협동 조합(SCE, Societas Cooperativa Europaea)형태로 인가 중에 있다. 유럽의 조직 내 예술적 개입의 허브로서 ‘유럽을 예술로 변혁하다’라는 미션 하에 예술적 개입을 위한 지식과 방법들을 제공하고 유럽 내에 확산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 유럽 내 예술적 개입 제작자와 강사/훈련가들을 연결, 네트워킹하고 좋은 사례를 벤치마킹하고 발굴하며, 사회 속에서 예술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유럽의 창조적 커뮤니티의 관문을 자처하며, 예술적 개입에 기여하고자 하는 예술가를 위한 강사/훈련가는 물론, 조직 내 예술적 개입의 제작자들을 지원하기도 한다. 유럽 내 예술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하고 활성화하는 미션을 지닌 비영리 기관들의 협동적 경험을 자산화하며, 현재 유럽 10개국의 전문 제작자와 강사/훈련가가 참여하며 운영하고 있다.

 

● 참여기관

▪ 리드 파트너: TILLT

▪ 핵심 파트너: c2+i(스페인), 베를린 사회 과학 연구 센터(WZB, 독일), KEA European Affairs(컨설팅 기업, 벨기에), 3 CA 예술 협회(프랑스)

▪ 협력 파트너: Culture Action Europe, 유럽 음악 위원회, 취리히 예술대학, 국립 과학 연구센터(프랑스), 파리 북 Seine 상공회의소, Gipuzkoa 고용주 협회(스페인) 등 13개 기관

▪ 일반 파트너: 현대 공연예술 국제 네트워크(IETM), 유럽 예술 기관 협회(ELIA), PAROC 그룹(핀란드) 등 14개 기관

 

② 주요활동

● 주요 활동

▪ 유럽 내 예술적 개입 참여 기관들의 사례 비교 분석

▪ 예술적 개입 실행을 위한 프레임웍 전략

▪ 정책 마련을 위한 연구 및 로비 활동

▪ 홍보 및 커뮤니케이션

▪ 유관 기관, 연구자 간 네트워킹

 

● 자기 정의

▪ 회원 기관 및 Creative Clash를 위한 “지식 허브”

▪ 유럽의 예술적 개입의 방법론과 업무 플로우를 개발하기 위한 “자원(Resource) 센터”

▪ 유럽에서 예술적 개입을 확산하기 위해 활동하는 “로비 에이전트”

 

● 미션

▪ 예술적 개입에 있어 혁신을 위한 창조적 영역의 일부분이자 활동가인 제작자와 강사/훈련가의 역할을 인식

▪ 산업과 혁신, 지역 개발, 사회 문제와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예술적 개입 프로그램을 시도

▪ 유럽 각 국가 및 지역 거버넌스 전략에 예술적 개입이 포함되고 또 그 실천들이 공개될 수 있도록 지원

▪ 세금 감면과 바우쳐 제도의 적용 등 예술적 개입이 경제/법적으로 문화와 혁신 프로젝트로 인정받도록 노력

 

● 주요 성과

▪ 2009년부터 10회 이상 유럽 각지에서 Creative Clash 세미나와 라운드 테이블 진행하여 유럽 전체, 국가, 각 지역 정책 입안자와 기업인, 문화 기관, 시민 사회 대표들 사이에서 예술적 개입 담론화

▪ 유럽 경제 사회 위원회의 노동시장 관찰 그룹으로 선정

▪ 2013년 성과보고서 발간

 

● Creative Clash 2013 세미나

▪ 2013년 3월 브뤼셀의 괴테 인스티튜트에서 2011년부터 13년까지의 활동 성과 발표

▪ 기조발제 ‘예술적 개입과 창조 경제와의 연관성’(WZB의 Michael Hutter) 이후, 3개 연구 보고서의 발표와 각 주제 마다 정책 입안자와 예술적 개입의 매니저, 예술가로 구성된 패널 토론이 이어짐. 유럽 협동조합의 형태로 결성되는 ‘Creative Clash – 예술적 개입을 위한 유럽 네트워크’ 의 추진을 위한 출범행사

▪ 유럽 의회 의원, 유럽 연합 행정조직인 총회(DG) 대표단 등 총150여명 참가

▪ 예술적 방식(Artful Method)를 컨퍼런스에 도입하여 활동 예술가인 Mari Linnman의 전시가 중간에 마련되었으며, 행사 말미에는 슬래머(랩퍼) Sebastian 23이 행사 내용을 보고 들은 감상으로 즉석에서 창조한 시(랩)를 발표

 

 

● 발간된 연구 보고서 및 기타 자료

– Artists in Organisations- mapping of European producers of artistic interventions in organisations, Anna Grzelec & Tiago Prata(2013)

– Support Schemes for Artistic interventions in Europe a mapping and policy recommendations, Anna Vondracek(2013)

– Artistic Interventions in Organisations: Finding Evidence of Values-Added, Ariane Berthoin Antal & Anke Straub(2013)

– Policy Paper: Artistic Interventions for Innovation, KEA(2012)

– Creative Clash, Artistic interventions to stimulate innovation sustainability and inclusiveness, TILLT Europe(2011)

– Transforming Organisations with the Arts – A guide to artistic interventions in organizations, Creative Clash(2013)

 

③ Creative Clash 성과보고서

● 매개자 역할

▪ 예술적 개입의 제작자(Producer of Artistic Interventions)는 예술가와 조직을 연결시킨다.

▪ 그들은 예술가와 조직 그룹 모두에게 상호적 발전의 기회를 마련하고 지원한다.

 

구체적 역할은 다음과 같다.

 

– 조직/기업의 필요와 기회의 이해, 사회 변화의 이해, 예술가의 강력한 추진력의 이해

– 예술가와 조직/기업 간의 새로운 관계의 공간을 디자인

– 조인트 프로젝트를 개발하기 위해 예술가와 조직을 매칭

–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그 과정을 지원

– 경험을 성찰하고, 조직 내부 및 조직 간 학습 경험을 공유

– 연구와 평가

 

● 예술적 개입의 창출가치 요약

1. 조직의 경영진들은 혁신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함을 깨달았다. 그래서 예술적 개입의 잠재력을 실험해보았는데, 그들의 조직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예술로부터 예술가와, 예술적 실행, 예술품들을 도입한다(예술적 개입)

 

2. 유럽의 모든 규모와 분야의 조직들이 다양한 목적과 모든 종류의 예술 형식에 기반한 예술적 개입을 시도하였다. ‘예술적 개입의 전형’은 존재하지 않는다.

 

3. 대부분의 연구들이 평가로서 명쾌하게 설계되지는 못하였지만 다양한 효과들은 기록되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정성적 기법을 중심으로 혼합된 방법을 사용했다. 많은 경우 관리자, 조직원, 예술가, 매개 조직과 같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을 포함했다.

 

4. 조직원들은 보통 초반에는 직장에서 예술가와 작업하는 것에 대해 회의적이지만, 예술가는 결국 그들을 참여시키는데 성공한다.. 때때로 부정적인 반응과 경험이 수반되기도 하지만, 예술적 개입이 끝날 무렵, 사람들은 항상 해당 경험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바스크 주에서 실시한 설문에 따르면 참여한 관리자와 조직원, 예술가의 100%가 그들의 동료들에게 동일 프로젝트를 추천할 것이라고 답함)

 

5. 이러한 효과들은 조직원 개인, 단체, 조직의 층위에서 모두 발견되며, 각 층위는 실제로 서로 연결된 경향을 보인다. 조직 차원의 영향은 보통 개인과 단체가 예술적 개입의 경험으로부터 얻은 이익의 부대 효과라는 것이 관찰된다. 효과 및 단체의 구분은 (연구의) 분석 측면에서는 도움이 되었으나, 실상 효과들이 자주 서로 밀접히 연관되고 서로를 강화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6. 예술적 개입이 진정으로 생산성, 효율성, 인재 확보, 평판 관리 등의 전략적이고 조직적인 요인들에 기여한다는 증거가 발견되었으나, 연구 기반 저작물에서는 최소한으로 언급되는 부분이다.

 

7. 표면적으로 조직원들이 무엇을 가장 두드러진 영향으로 보느냐는 중요하지 않았다. 실제로 직접적 효과를 기록하고자 했던 기업들도 거의 없었다. 그보다 경영진과 조직원들은 예술적 개입이 어떻게 혁신을 위한 잠재력을 뒷받침하는 요인들에 영향을 주는지에 주목하는 것으로 보인다.

 

8. ‘더 잘, 다르게 보기’와  ‘활성화(Activation)’는 조직 내 예술적 개입으로부터의 학습과 변화의 과정을 뒷받침하는 가장 강력한 분야이다. 또 ‘협력적으로 일하는 방법’과  ‘개인 개발’은 그 다음으로 자주 언급되는 요소이다.

 

9. 사람들이 예술적 개입에서 사물을 새롭게 보는 방식을 발견할 때, 변화를 실행하고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활성화하는 에너지 넘치는 경험이 발생한다. 단순히 함께 일하는 것이 아니라 협력적으로 일하는 것은 잠재력의 부가적 원천이다.

 

10. 조직 내 예술적 개입의 힘은 공식, 비공식적 조직 사이의  ‘공유공간(Interspaces)’이라 불리는 가능성의 공간을 여는 데서 생겨난다. 이 공유공간에서 참가자들은 보고 생각하고 행하는 새로운 방식을 경험하여 개인의 가치를 발견하고 개발한다.

 

11. 예술적 개입은 조직 내의 단기적 현상이다. 시작과 끝이 있기에 발생된 이익을 활용하고 지속적으로 그 효과를 유지하는 책임은 경영진과 조직원들에게 있다.

 

12. 정책입안자들은 그들의 자체 조직에 예술적 개입을 경험하는 기회를 만드는 것과 더불어 프로그램, 정책, 재원 지원으로 이 분야를 육성해야 한다.

 

● 예술적 개입의 액션 포인트

– 경영진: 예술가에 의해 생성된 공유공간(interspaces)는 한시적으로만 유지되므로, 예술적 개입의 잠재적 영향력이 결실을 맺고 유지되기 위하여 적극적인 리더십과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 정책입안자: 더 많은 혁신 프로젝트를 육성하기 위해 혁신적 활동을 위한 장(ground)을 만들어야 한다. 방법은 중소규모의 조직과 특히 공공 영역의 조직에서 이러한 프로젝트들을 도입할 수 있는 정책 마련과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재정 지원이 될 수 있다. 정책입안자 본인들이 직접 예술적 개입을 체험하여 해당 도구를 이해하고, 자신의 조직 안에서 먼저 혁신을 촉진하는 시도가 권장된다.

 

– 연구자: 향후 연구는 방법론과 더불어 효과 검증 및 액션 평가를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것과 방법론과 영향 평가 도구 사이에 긴밀한 연결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웹 베이스 연구의 경우 더 많은 실행을 통해서 적절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또 예술적 방식과 예술작품을 활용하여 연구자의 레퍼토리를 확장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연구는 항상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고, 고객과 공급자, 커뮤니티와 같은 외부 이해관계자는 물론 다수의 예술적 개입 프로젝트를 제작한 경험이 있는 매개자들을 연구에 참여시켜서 연구의 질을 높여야 한다.

 

 

● 지원정책 제안

‘ 어떻게 예술적 개입의 제작자와 그 활동에 대한 맞춤 지원을 할 수 있을 것인가? ‘

– 문화보다는 다른 분야 재원에 접근하기 위해 예술적 개입의 제작자 간 인식을 증대해야 한다. 모든 층위의 정책 결정과 지원 계획에서 다양한 분야의 혁신을 일으키기 위한 도구로서 예술적 개입을 위한 사례를 만드는 것은 이런 종류의 프로젝트를 위해 이미 존재하는 다른 분야의 지원 계획으로의 포문을 여는 것이다.

→ 많은 제작자들이 이미 존재하는 분류 안에서 그들 자신을 바라보고 문화 외의 다른 분야의 재정 지원은 고려치 않음, 그들의 활동이 도시 개발, 지역 개발, 제품 및 서비스 혁신, 사회 혁신과 강한 연관성이 있음

 

– 새로운 혁신의 도구로서 잠재력을 조명하기 위해서 정책 보고서와 전략적 정책 문서들에서 사회적 혁신과 혁신을 발생시키는 최고의 실천으로서 예술적 개입을 포함시켜야 한다.

→ 예술적 개입에 대한 명확한 개념적 지지가 지원 계획을 열고 지속적 재정지원의 길을 닦을 것임

 

– 지역 및 도시 개발 프로젝트 등 문화예술 외 프로젝트의 공모에 예술적 개입의 제작자들도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지원제도에 기존의 재정 지원 적격 기준의 유연성을 증대한다.

→ 대부분의 혁신이나 지역 개발 재정 제도의 자격 기준이 참신한 형식의 프로젝트가 선정되기에는 제한된 부분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해야 할 것임

 

– 도시/지역 재생활동과 혁신적인 예술적 실행, 혁신 개발 등에 적극적인 재정 지원 기관의 지원 제도로부터 연간 혹은 다년간의 재정지원을 받기 위한 지원의 가능성을 열어야 한다.

→ 기업과 경제, 사회에 예술적 개입이 주는 이익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이 분야의 재정지원의 불확실성을 경감하는 지속가능한 재정지원을 가능하게 할 것임. 또한 제작자들이 그들의 활동을 개발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