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om 연구보고서] 경영미학과 예술기반경영 연구

예술을 한 문장으로 정의해 보자면, “보편성, 특수성과 함께 환상적 또는 마법과 같은 놀라움을 표현하는 것(W.U.U,is Art.(WUUA))”이라고 할 수 있다. 풀어 말하자면, 예술은 과학으로 대변되는 보편성과 개별적 삶의 특수성으로 인한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창의성을 발현하여 감동을 자아내고자 하는 일종의 의사소통 과정이다. 경영 역시 보편성과 특수성을 조화시켜 서 수익을 창출하려는 목적을 위해 창의성을 발현하며 이를 통해, 고객, 종업원, 주주 등 이해 관계자를 감동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경영 과정을 일종의 예술 과정으로 치환해서 생각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예술은 경영에 의해 후원, 투자를 받는 존재로 예술과 경영이 별개의 존재로 인식되어 왔으나, 오늘날 경영은 급변하는 복잡한 환경 속에서 보편성(관료적 시스템 등)으로는 도저히 독해할 수 없는 특수성(세분화되는 고객 등)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돌파해 나가기 위해 예술의 도움을 요청하는 상황이다. 특히, 최근 IT 혁명으로 인한 수평적이고 유연한 조직문화의 확산은 예술기반경영의 기폭제로 작용하였다. IT로 인해 다양한 정보에의 접근성이 향상되고 의사결정의 권한과 책임이 점차 일반 직원에까지 위임되면서 직원 교육 및 창의적 역량 제고가 요구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경영학의 예술에 대한 기웃거림이 시작된 것이며, 예술과 경영의 접점을 찾아나가며 함께 손잡고 나아갈 수 있는 보다 견고한 방법을 모색하는 연구와 실행이 정당성과 시의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연구보고서 다운로드]

[연구보고서]경영미학과 예술기반경영_요약본.pdf


interview 03

장대철 (KAIST 경영대학 연구교수)

<경영미학과 예술기반경영>의 책임 연구자인 KAIST 경영대학 장대철 교수는 예술기반경영의 현황을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로 나누어 구체적이고 다양한 각도에서 조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예술기반경영의 이론과 유형을 구분하고 적용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앞으로의 전망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다소 낯설게 여겨지는 예술기반경영에 관심을 두게 된 계기와 예술기반경영의 실체는 무엇인지,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전망을 중심으로 연구 전반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